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수시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page_top_research (1).jpg
자율주행 및 인프라 발전단계에 따른 스마트 버스 교통체계 구상
  • 발간일

    2019.04.30

  • 저자

    탁세현,강경표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53 Page

수시-18-11_자율주행및 인프라 발전단계에 따른 스마트 버스교통체계 구상_표지.png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도입, 환승할인 및 One Card All Pass, BRT 확대 등으로 국내의 버스 수단분담률은 2004년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되어 왔다. 하지만 2011년 이후 국내 시내버스의 증가 추세는 시외· 고속버스는 자가용 승용차 증가 및 KTX 네트워크 확장 등으로 인하여 둔화 및 감소 추세에 있다. 버스 수단분담률의 증가가 이러한 한계를 갖게 되는 주된 요인은 최근 공유 교통과 같은 신교통 수단의 발생으로 인한 모빌리티에 대한 가격 대비 기대 수준 증가, 버스 운전기사 부족 및 운영사의 수익성 저하로 인한 모빌리티 서비스 수준의 저하, 버스 관련 사고의 발생에 있다. 앞서 언급한 대중교통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수단 간 상호 끊임없는 연계·통합 서비스 및 첫 구간~마지막 구간 이동 서비스(first-last mile mobility service) 등의 신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버스 대중교통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대중교통 자동화(Transit Automation)라는 관점에서의 대중교통 혁신이 도모되고 있다. 교통 자동화(Transit Automation)는 크게 자율주행 차량, 수요 응답 모빌리티 기술, 커넥티드 스마트 인프라를 중심으로 기술 및 정책 개발이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외 대중교통 자동화 관련 기술 개발 및 정책 마련은 승용차 및 트럭의 자동화 움직임과 비교하였을 때에 초기 단계이다. 특히, 승용차와 트럭 자율주행 기술/서비스의 경우 주변 인프라와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자율협력주행의 많은 실증을 기반으로 상용화 단계에 있지만, 버스 자율주행 기술은 아직 센서 기반의 자율주행 단계에 머무르고 있어 상용화를 하기에는 확장성 및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의 자동화 및 관련 사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국내·외 사례 검토를 통해 기존 ITS 기반 대중교통체계와 비교한 자율주행기반 스마트 대중교통체계에 대한 정의와 대중교통 서비스의 구분을 제시하고, 자율주행차와 자율주행 관련 인프라 기술을 분석하고 대중교통서비스 적용방안을 검토하여 필요 기술 및 인프라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국내 대중교통 인프라 현황에 맞는 자율주행기반 대중교통 서비스 도입전략과 체계 구상안을 제시하였다.

 


차 례
요 약/xi
제1장 서론/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6
제2장 자율주행기반 스마트 대중교통체계 검토/8
제1절 사례 검토 / 8
제2절 자율주행기반 스마트 대중교통체계의 정의 및 검토 / 21
제3장 대중교통분야 자율주행기술 분석 및 요구사항 도출/31
제1절 자율주행 차량 기술 분석 및 대중교통서비스 적용 검토 / 31
제2절 자율주행 인프라 기술 분석 및 대중교통서비스 적용 검토 / 58
제4장 자율주행기반 대중교통 서비스 도입전략 및 체계 구상/81
제1절 자율주행기반 대중교통 서비스 도입전략 / 81
제2절 자율주행기반 스마트 대중교통 서비스 구현을 위한 대중교통체계
구상 / 101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105
제1절 연구 결과 / 105
제2절 정책 제언 / 109
참고문헌/113
Abstract/127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자율협력주행연구센터 연구위원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