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책임자
- 원민수 부연구위원
- 장동익 부연구위원
2. 과제구분 : 정책
- 팬데믹에 의한 사회현상 및 정부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고, 교통분야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측면에서 정책과제로 수행하는 것이 적합함
3.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 관련 정책현안 및 정부시책과의 부합성
○ 장기화되는 코로나 사태에 대한 지속적이고 성공적인 방역정책 제시 및 사회경제적 타격 최소화를 위한 공공주도의 효과적인 정책대안 필요
□ 연구의 필요성 및 대내외 환경 및 사회적 요구에 대한 부합성
○ 코로나19와 같이 뚜렷한 치료방법이 없는 팬데믹 상황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이동제한, 사회경제시설 셧다운 등과 같은 비약학적 방역대책 (Non-Pharmaceu- tical Interventions: NPIs)이 유일한 수단임
○ 하지만, 장기화되고 있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사회경제의 장기적 침체, 새로운 교통서비스 취약계층 및 지역 발생, 피로도 증가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효과 감소 등 다양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음
○ 특히, 강력한 정부주도의 비약학적 방역정책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할 수 없는 사회계층에서 집단감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
○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현재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속해야 하는지, 또는 언제 종료해야 하는지에 대한 딜레마에 빠질 수 있음
○ 그러므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그 효과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 사회경제적 현상을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팬데믹 대응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
4. 연구 목적
□ 연구 목적
○ 모빌리티 빅데이터 (모바일통신, 대중교통카드 등)를 이용하여 사회적 거리두기의 사회계층별, 통행목적별, 지역별 통행변화와 사회경제적 영향을 분석하고,
○ 사회계층별·지역별 고위험 감염집단 및 교통서비스 취약계층을 파악하여,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방역대책 및 교통분야 대응·지원 정책을 마련
□ 국책연구기관으로서 본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적합성 및 당위성
○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정부주도의 비약학적 방역정책의 과학적 수행과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새롭게 발생하는 취약계층에 대한 체계적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정부정책을 개발·지원하는 국책연구기관으로서의 역할이 필요함
□ 연구원 정관상 설립목적과의 부합성
○ 본 과제는 정부의 주요 현안인 팬데믹 극복과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성공적인 사회경제적 회복 방안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본원의 중요한 설립 목적인 국가의 교통·물류정책 개발과 부합함
5. 주요 연구내용
□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이용한 비약학적 방역정책 (사회적 거리두기)의 효과 분석
○ 자발적·비자발적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에 따른 사회계층별 (성별, 연령별, 소득별, 직업별 등), 통행목적별 (필수통행, 여가통행 등), 지역별 통행행태 변화를 미시적·거시적으로 분석
○ 자발적·비자발적 사회적 거리두기의 순응도 및 피로도 분석
○ 자발적·비자발적 사회적 거리두기 이후의 사회경제적 회복력 분석
□ 사회경제적·지역별 고위험 감염집단 및 교통서비스 취약계층 선정
○ 사회적 거리두기의 순응도 및 피로도를 이용한 사회경제적 고위험 감염집단 선정
○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에 따른 교통서비스 취약계층 및 지역 선정
□ 체계적인 비약학적 방역대책 및 교통분야 대응·지원 정책 개발
○ 비약학적 방역대책의 과학적 시행·운용·종료 기준 제시
○ 고위험 감염집단 및 취약계층을 위한 단기적·장기적 교통분야 대응책 마련
#팬데믹 #비약학적 방역대책 #사회적 거리두기 #빅데이터 #교통 #Pandemic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 #Social Distancing #Big Data #Transpor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