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
가로줄눈
수평 이음줄(北)
돌이나 벽돌 따위를 쌓을때, 수평방향으로 생기는 줄눈.
일반적으로 도로중심선에 직각방향의 줄눈, 특히 도로에서는 도로의 중심선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만든 콘크리트 포장 슬래브의 줄눈의 총칭. 기능에 따라 수축줄눈, 팽창줄눈, 시공줄눈 등으로 나누어짐.
- 관련어/한자/원어
-
- 출처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1999]+◇조선말대사전+1992]+◇조선말대사전+1992]
-
건설
가물막이
림시 물막이(北)
흐르는 물을 막기 위하여 임시로 만들어 놓은 시설물
수력구조물이나 그밖의 구조물을 건설할 때 그 구조물에 물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주변에 설치하는 림시적인 물막이구조물. 시공조건을 보장하며 큰물이 져도 일을 계속 하기 위하여 건설함.
- 관련어/한자/원어
-
- 출처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국어대사전+1999]+◇조선말대사전+1992]+◇조선말대사전+1992]
-
기계
가속페달
가속기 디디개(北)
액셀러레이터. 발로 밟는 자동차의 가속 장치
속력을 더 내거나 일정한 반응을 더 다그치게 하는 기계의 부분품
- 관련어/한자/원어
-
- 출처
- [과학기술대사전+2005]◇조선말사전+2004]
-
항공
갈고리
갈구리(北)
끝이 뾰족하고 꼬부라진 물건. 흔히 쇠로 만들어 물건을 걸고 끌어당기는 데 쓴다. ≒갈고리 ·구겸(鉤鎌) ·구조(鉤爪) . 긴 나무 자루에 갈고랑쇠를 박은 무기.
철근의 정착 또는 겹이음을 위하여 철근 끝의 구부린 부분. 철근 끝부분을 반원형으로 180°구부린 갈고리를 반원형 갈고리, 철근 끝부분을 90°로 구부린 갈고리를 90°갈고리, 철근 끝부분을 135°구부린 갈고리를 135°갈고리라고 함
- 관련어/한자/원어
- 갈고랑이
- 출처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1999]+◇조선말대사전+1992]+◇조선말대사전+1992]
-
건설
거푸집
휘틀(北)
만들려는 물건의 모양대로 속이 비어 있어 거기에 쇠붙이를 녹여 붓도록 되어 있는 틀. 풀칠하여 붙인 종이나 천, 주물이나 도자기 따위의 한 부분에 공기가 들어가서 들뜬 곳. 몸의 겉모양을 낮잡아 이르는 말.
콩크리트혼합물을 쳐넣어 콩크리트 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형틀. 나무, 강철, 합판, 경금속, 수지 등의 휘틀이 있음.
- 관련어/한자/원어
- 용범(鎔范) ·주형(鑄型) ·형(型) ·형틀
- 출처
- [국어대사전+1991]◇조선말사전, 2004]
-
자동차
견인차
끌차(北)
무거운 물건이나 다른 차량, 수레 따위를 뒤에 달고 끄는 차. 주로 짐을 실은 여러 개의 차량을 끄는 기관차를 이르는데, 트랙터 따위가 있다.
차량이나 련결 농기계 같은 것을 뒤어 달고 끄는 차. 무기 및 전투기술기재 등을 끌기위한 바퀴식 또는 무한궤도식 운수수단.
- 관련어/한자/원어
- 견인 자동차
- 출처
- [국어대사전+1991]◇조선말사전, 2004]
-
전기
경보기
껌뻑 신호기(北)
큰 등불이나 별빛같은 것을 순간적으로 어두워지게 하여 진행, 정지, 방향 전환, 주의 따위의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
갑작스러운 사고나 위험을 광선이나 음향 따위를 이용하여 알리는 장치.
- 관련어/한자/원어
-
- 출처
- [국어대사전+1991]◇철도자동화상식+1990]
-
물리
경사 마찰력
구배 저항력(北)
경사접촉면에서 운동을 방해하려고 하는 방향으로 힘.
길 위를 움직이는 자동차나 트랙터의 무게에서 도로의 겉면에 평행으로 작용하는 저항
- 관련어/한자/원어
-
- 출처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1999]+◇조선말대사전+1992]+◇조선말대사전+1992]
-
물리ㆍ수학
계수
곁수(北)
<물리> 하나의 수량을 여러 양의 다른 함수로 나타내는 관계식에서,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비례 상수. 점성 계수, 팽창 계수 따위가 있음. <수학> 기호 문자와 숫자로 된 식에서, 숫자를 기호 문자에 대하여 이르는 말.
글자 앞에 놓인 수로 된 인수
- 관련어/한자/원어
-
- 출처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국어대사전+1999]◇조선교통운수사+2(철도운수편)+1988]
-
건설
과선교
철길건늠다리 (北)
철로를 건너갈 수 있도록 그 위에 건너질러 놓은 다리. ‘구름다리’로 순화.
철길우로 도로나 철길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건너놓은 다리
- 관련어/한자/원어
-
- 출처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1999]+◇조선말대사전+1992]
-
공학
궤간
철길너비(北)
철길 궤도의 두 쇠줄 사이의 너비. 표준 궤간은 1.435미터이고, 이보다 넓은 것을 광궤, 좁은 것을 협궤라고 한다
철길 궤도의 두 쇠줄 사이의 너비
- 관련어/한자/원어
-
- 출처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국어대사전+1999]+◇조선말대사전+1992]
-
기계
기어
치차(北)
톱니바퀴. 톱니바퀴의 조합에 따라 속도나 방향을 바꾸는 장치. 주로 자동차 따위에서 엔진으로부터 발생한 출력의 회전수를 바꾸는 데 씀.
테두리에 일정한 모양의 이발들이 나란히 있는 기계의 부분품. 쌍을 이루는 두개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면서 한 축에서 다른 축에 운동이나 힘을 전달하는데 씀. 크고 작은 기계에 널리 쓰임.
- 관련어/한자/원어
-
- 출처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국어대사전+1999]+◇조선말대사전+1992]
-
공업ㆍ기계
나사롤링반
나사로링반(北)
쇠를 깎지 아니하고 다이스 따위로 눌러서 나사를 만드는 공작 기계
쇠를 깍아내지 않고 압착하여 나사를 만드는 공작기계
- 관련어/한자/원어
-
- 출처
- [국어대사전+1991]◇기술혁신+ 2007]
-
물리
내마모성
닳음견딜성(北)
마찰에도 닳지 아니하고 잘 견디는 성질
마찰되여도 잘 닳지 않는 성질
- 관련어/한자/원어
-
- 출처
- [국어대사전+1991]◇기술 혁신+2007]
-
건설
내부마찰각
안식각, 자연쏠림각(北)
전단저항각과 동일한 의미. Coulomb의 파괴기준에서는 흙의 전단강도의 마찰성분을 전단파괴면상의 수직응력 σ를 이용하여 σtanφ로 나타내는 데 이 때의 φ를 내부마찰각이라 함.
흙을 쌓을때 쌓이는 흙이 자연적으로 이루는 물매
- 관련어/한자/원어
-
- 출처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국어대사전+1999]+◇조선말대사전+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