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개요
2000년대 이후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영향으로 택배, 배달대행 등 생활물류산업의 성장이 빠르게 전개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택배물동량은 2001년 대비 약 20배 이상 성장하였으며, 건당 택배비는 약 3,200원에서 약 2,300원으로 감소하여 국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쉽고 싸게 이용할 수 있는 생활서비스산업으로 성장하였다.
2020년 코로나19의 확산은 기존 인터넷 전자상거래 확산과 함께 비대면 방식의 소비패턴으로의 전환과 결합하여 비대면 생활경제로의 전환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생활경제로의 전환속도가 기존 예상을 훨씬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됨에, 정책부문의 대응전략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생활경제의 변화 및 영향 수준을 분석하고, 택배, 배달대행 등 생활물류서비스 전반에 걸친 소비자의 이용실태 변화를 예측한다. 이를 기반으로 미래 물동량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인프라, 정책, 자원 등 사회시스템의 역량 평가를 통해 정부 및 지자체 등 공공부문의 선제적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제언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하 원문 확인>
1. 연구의 개요
2000년대 이후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영향으로 택배, 배달대행 등 생활물류산업의 성장이 빠르게 전개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택배물동량은 2001년 대비 약 20배 이상 성장하였으며, 건당 택배비는 약 3,200원에서 약 2,300원으로 감소하여 국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쉽고 싸게 이용할 수 있는 생활서비스산업으로 성장하였다.
2020년 코로나19의 확산은 기존 인터넷 전자상거래 확산과 함께 비대면 방식의 소비패턴으로의 전환과 결합하여 비대면 생활경제로의 전환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생활경제로의 전환속도가 기존 예상을 훨씬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됨에, 정책부문의 대응전략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생활경제의 변화 및 영향 수준을 분석하고, 택배, 배달대행 등 생활물류서비스 전반에 걸친 소비자의 이용실태 변화를 예측한다. 이를 기반으로 미래 물동량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인프라, 정책, 자원 등 사회시스템의 역량 평가를 통해 정부 및 지자체 등 공공부문의 선제적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제언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하 원문 확인>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