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현안 심층분석 중·러·일(훈춘-자루비노-니가타)간 신물류수송로 개발 전망 _아라이 히로후미(新井洋史)/동북아경제연구소(ERINA)연구주임 2.국가별 동향 북한_백두산 여객삭도(索道)건설의 배경 및 현황 외 러시아_2010년 러시아 교통부문 수송실적 호조 중국_창지투 개발개방 선도구 지역 교통망 대폭 확충
1. 현안심층분석 한·러 수교 20주년과 교통협력 전망_권원순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2. 국가별 동향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중국방문 중 '창춘궤도객차공사' 참관 외 러시아: 러시아, 북극해 항로 개항 준비 어디쯤 왔나? 중국: 중국의 고속철도 해외진출
3. 센터소식 중국 길림대학교 동북아연구원과 국제 학술세미나 개최 외
1. 현안 심층 분석 북한의 자전거사업 현황과 남북협력 방향 한국교통연구원 임재경 연구위원
2. 국가별 동향 북한: 라선특별시, 몽골 도로운수건설도시경영성과 경제무역협조발전 양해각서 체결 러시아: 러시아의 고속철도 현황 및 개발 전망 중국: 중국의 고속철도망 현황 및 개발계획
1. 현안 심층분석 북·중 경제협력을 바라보는 또 다른 시각 한국교통연구원 동북아·북한연구센터장 안병민
2. 국가별 동향 북한: 대풍국제투자그룹, 향후 5년 내 철도, 도로, 항만 등 정비계획 추진 '수도려객지도국 뻐스예비기동대'에서 실동률 확대에 최선 다해 중국: 북중 최대 접경도시 단둥, 교통인프라 빠르게 발전 러시아: 러시아, 라진항 개발 선두권에서 밀려나나?
3. 부록: 평양-베이징 국
1 시론 베를린 장벽 붕괴 20주년과 남북철도연결사업 서독의 교통정책은 양독 간 긴장완화의 매개체 역할 / 서독은 대동독 교통부문 투자에 적극적으로 지원 / 남북종단철도 위해 정치와 분리된 사업모델 마련이 급선무 한국철도대학 최연혜 총장
2 현안분석 ‘용’과‘곰’의合舞:‘ 중국동북지역과러시아극동 및 동시베리아지역 협력계획강요(2009-2018)’를 중심으로 동북진흥전략과 극동∙자바이칼 개발전략의 연계 추진 / 계획강요의 내용과
1 시론 다시 압록강은 흐른다 百花齊放/ 東北亞色大通路/ 一衣帶水 한반도발전연구원 강재홍 이사장 / 전 한국교통연구원장 2 현안분석 2009년 경기침체와 러시아의 교통개발전망 교통개발 현황 / 위기에 봉착한 교통개발 / 정부의 대응정책 한국교통연구원 이옥남 연구원 3 국가별 동향 북 한: 원산철도분국 당위원회, 당세포사업 추진 남포시에서 시내-남포항 도로를 새롭게 포장 중 국: 백두산 순환관광도로 일부구간 개통
1 시론 접경지역 발전을 중심으로 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방안 접경지역 발전을 위한 정부의 정책 / 남북협력을 위한 녹색평화지구의 전략적 조성 / 대륙-해양 연결망 구축 및 접경지역 지원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국회의원 김영우
2 현안분석 남북경제교류의 동향과 과제 남북관계의 변화와 남북경제교류의 동향 / 남북경제교류의 최근성과 / 남북 경제교류의 향후과제 H&H Logis 허 훈 대표
3 국가별 동향 북 한: 남포해운사업소, 3대
1 시론 변화하는 동북아 정세와 북핵문제 변화하는 동북아 정세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 북핵 해결을 위한 지혜가 필요한 시점 한겨레평화연구소 김연철 소장
2 현안분석 북한 150일 전투에서 철도 강조, 함의와 과제 북한, 150일 전투 대대적 실시 / 150일 전투에서의 철도강조: 규율과 자 립적 생산체계 / 균형적 수송체계의 관건은 철도 안정화 / 국제협력체계 구축: 남북협력 우선실시 중요 한국교통연구원 김선철 연구원 3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