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수시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page_top_research (1).jpg
철도구조개혁 이후의 과제와 정책방향
  • 발간일

    2004.04.30

  • 저자

    홍갑선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07 Page

#철도구조개혁 #외국의 철도구조개혁 #영국 #스웨덴 #독일 #프랑스 #철도구조개혁정책 #철도운영정책 #철도산업발전기본법
기본연구이미지

연구목적 - 정부는 철도산업구조개혁 계획에 따라 철도산업발전기본법과 한국철도시설공단법을 국회에서 통 과시켰음. 이 법에서는 철도시설부문과 운영부문을 분리하여 철도시설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건 설, 관리하고, 철도운영은 한국철도공사에서 담당하기로 하였음. - 국영철도구조 개혁방안에는 각 국가별로 처해진 상황에 따라 상이한 방안이 채택될 수 있어 시설 과 운영의 분리 또는 통합 중 어느 방안이 우수하다는 정설은 없음. 시설과 운영이 분리되건, 또는 통합되건 그 국가의 철도개혁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알맞은 철도구조를 갖추고 일관성 있게 추진될 수 있으면 됨. - 정부에서 마련한 철도구조개혁방안은 시설과 운영의 분리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면서 운영을 독점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미 철도구조개혁 경험을 갖고 있는 유럽, 일본과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 음. - 이것은 철도구조개혁이 단순히 정부조직인 철도청을 정부가 관리하는 철도공사로 전환하는 데에 그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 따라서 철도구조개혁의 성패는 철도구조개혁 이후의 철도운 영정책에 크게 의존될 것으로 보임. - 그러므로 철도구조개혁이 지향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철도구조개혁 이후에 당면하는 과 제 는 무엇이며, 이에 대응하는 철도정책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한 사전 검토가 필요함. - 본 연구에서는 철도구조개혁의 경험이 있는 선진국의 철도구조개혁 성과와 문제점, 그리고 각국 정부의 대응정책을 정리하고, 이를 우리 나라의 철도구조개혁방안과 비교한 후 철도구조개혁 이후 에 예상되는 과제와 대응 정책방향을 정립해 보려고 함. 주요연구내용 - 영국, 독일, 스웨덴, 일본의 철도개혁정책의 성과와 문제점 · 주요정책내용 비교 · 정책성과 · 문제점 · 요인 및 대책 - 우리의 과제 · 철도산업발전기본법의 주요내용 검토 · 외국의 철도구조개혁 정책과 차이점 · 예상되는 문제점 · 철도구조개혁 이후의 과제 및 정책방향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철도구조개혁의 주요 내용
제1절 철도구조개혁의 목적
제2절 철도구조개혁의 주요 내용
제3절 철도구조개혁 관련법의 주요 내용
제4절 추진과정에서 제기된 쟁점

제3장 외국의 철도구조개혁 주요 내용 및 문제
제1절 영국
제2절 스웨덴
제3절 독일
제4절 프랑스

제4장 과제와 정책방향
제1절 외국의 철도구조개혁 정책과 차이점
제2절 철도구조개혁 이후의 과제
제3절 정책방향

참고문헌
ABSTRACT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