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업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2017 마이크로모빌리티 교통정책지원사업 : 연구보고서
- 발간일
2017.12.31
- 저자
신희철,정경옥,이재용,박성용,김사리,양수정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356 Page
#마이크로모빌리티 교통정책지원사업
#마이크로모빌리티
#교통정책지원사업
#마이크로
#모빌리티
#교통정책
#정책지원
#교통정책지원
#전기자전거
#세그웨이
#투휠보드
#친환경 신교통수단
#신교통수단
#원동기장치자전거
#퍼스널모빌리티
#자전거
#전동킥보드
#공유자전거

-
본 사업에서 추진한 연구는 퍼스널모빌리티 법·제도 개선 방안 연구, 2016 자전거 이용실태조사 결과 분석, 2017 마이크로모빌리티 이용실태조사, 공유자전거 최신동향 연구, 미세먼지와 자전거 통행량과의 상관분석, 자전거 관련 통계 및 지표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략적인 연구 내용과 추진방법은 아래와 같음
- 퍼스널모빌리티 법·제도 개선 방안 연구
- 자전거 이용자 실태 분석
- 2017 마이크로모빌리티 이용실태조사
- 전동킥보드 충돌 시뮬레이션
- 공유자전거 최신동향 연구
- 미세먼지가 자전거 통행에 미치는 영향분석
< 이하 원문 확인 > -
제1장 서 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추진방법 / 3
제2장 퍼스널모빌리티 법제도 개선 방안 연구 ------------------------------------ 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개요/ 5
1. 연구의 배경 및 개요 ··· 5
2. 연구 수행방법 ··· 5
제2절 국내 현황/ 6
1. 개인형 이동수단의 현황 ··· 6
2. 국내 법제도 현황 ··· 11
제3절 해외 사례 / 17
1. 일본 ··· 17
2. 미국(캘리포니아) ··· 27
3. 영국 ··· 35
4. 독일 ··· 43
5. 싱가포르 ··· 53
6. 네덜란드 ··· 69
8. 해외법제도 비교 ··· 75
제3장 자전거이용자 실태분석 ---------------------------------------------------- 83
제1절 추진배경 및 개요 / 83
1. 추진배경 ··· 83
2. 분석개요 ··· 83
제2절 자전거 이용자 분석 / 84
1. 일반국민 자전거 이용자 현황 ··· 84
2. 공공자전거 이용자 실태 ··· 99
제4장 2017 마이크로모빌리티 이용실태조사 – 기업체 조사 ---------------------- 113
제1절 2017 마이크로모빌리티 이용실태조사 개요 / 113
1. 추진배경 ··· 113
2. 연구 절차 및 방법 ··· 114
제2절 기업체 조사 설계 / 115
1. 조사 설계 ··· 115
제3절 기업체 조사 결과 / 118
1. 기업체 일반 현황 ··· 118
2. 제품 유형 분류 및 용어 인식 ··· 119
3. 퍼스널모빌리티 시장 구조 및 전망 ··· 123
4. 제품 특성 ··· 126
5. 이용 의견 ··· 130
제5장 2017 마이크로모빌리티 이용실태조사 – 퍼스널모빌리티 이용자 조사 ------ 136
제1절 퍼스널모빌리티 이용자 조사 설계 / 136
1. 조사 설계 ··· 136
제2절 조사 결과 / 137
1. 응답자 현황 ··· 137
2. 제품 유형 분류 및 용어 인식 ··· 138
3. 이용 현황 ··· 141
4. 제품 특성 ··· 167
5. 이용 의견 ··· 180
제6장 2017 마이크로모빌리티 이용실태조사 – 일반인 조사 ----------------------- 196
제1절 일반인 조사 설계 / 196
1. 조사 설계 ··· 196
제2절 조사 결과 / 197
1. 응답자 현황 ··· 197
2. 이용 의견 ··· 225
제7장 전동킥보드 충돌 시뮬레이션 ----------------------------------------------- 232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개요 / 232
1. 연구의 배경 ··· 232
2. 연구 수행방법 ··· 232
제2절 충돌 시뮬레이션 설정 / 233
1. 충돌 시나리오 ··· 233
2. 충돌 상해 평가 기준 ··· 237
3. 해석에 필요한 모델 구성 ··· 238
제3절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 240
1. 정면 충돌 ··· 240
2. 측면 충돌 ··· 241
3. 후방 추돌 ··· 243
4. 시나리오로 본 종합적 상해 분석 ··· 245
5. 결론 ··· 246
제8장 공유자전거 최신동향 연구 -------------------------------------------------- 24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개요 / 247
1. 연구의 배경 ··· 247
2. 연구 수행방법 ··· 247
제2절 공유자전거의 현황 / 247
1. 공공자전거와 민간 공유자전거 ··· 247
제3절 우리나라 공유자전거 제도의 발전 방향 / 253
제9장 미세먼지가 자전거 통행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 254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개요 / 254
1. 연구의 배경 및 개요 ··· 254
2. 연구 수행방법 ··· 254
제2절 세종시 자전거 통행 기초분석 / 255
1. 자전거계수기 통행량 분석 ··· 255
2. 공영자전거 이용분석 ··· 258
제3절 미세먼지와 자전거통행과의 상관관계분석 / 260
1. 기초데이터 정리 ··· 260
2. 미세먼지와 공영자전거 이용분석 ··· 261
3. 미세먼지와 자전거통행량 분석 ··· 264
4. 미세먼지가 자전거통행에 미치는 영향분석 결론 ··· 266
제10장 자전거 관련 통계 및 지표 분석 --------------------------------------------- 268
제1절 자전거 관련 통계 구축 / 268
1. 자전거 관련 통계 구축 개요 ··· 268
2. 자전거 관련 통계 목록 ··· 268
제2절 자전거 교통관련 자료 분석 / 270
1. 자전거도로 현황 ··· 270
2. 자전거 교통사고 현황 ··· 279
3. 2015 인구주택총조사 통근통학인구 분석 ··· 282
제3절 자전거 관련 주요 지표와 분석 요약 / 286
부록 ----------------------------------------------------------------------------- 288
인기 보고서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