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관광진흥을 위한 정부의 역할
- 발간일
1995.12.31
- 저자
이태희,김상태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201 Page
#관광진흥
#정부
#관광분야
#외국 관광정책
#관광정책
#관광
#정부역할
#관광진흥체계
#해외여행 완전 자율화
#관광기본법
#관광지개발촉진법

-
해방이후 관광산업은 실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1970년대 중반에 관광기본법과 관광지개발촉진법이 제정되어 전략산업으로 육성되기 시작했지만, '80년대 중반과 후반을 거치면서 관광산업은 각종 지원과 혜택의 폐지로 큰 타격을 받았다. 그러나 1993년의 부분적인 해외여행 자율화와 1989년의 해외여행 완전 자율화는 성장의 커다란 밑받침이 되었다. 차제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진흥에 있어서 정부의 역할이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여 이에 답하고자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보고서는 관광정책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우리 나라 관광정책을 평가하며, 나아가서 향후의 관광정책 방향과 그에 따른 구체적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
제1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접근방법
제2장 관광과 정부의 역할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제1절 관광정책분야의 연구동향
제2절 관광과 관광정책
제3절 관광부문에 있어 정부 개입의 근거
제4절 관광분야에서의 정부실패
제5절 정책대상으로서의 관광
제3장 외국의 관광정책과 정부 역할
제1절 선진국의 관광정책
제2절 외국의 사례분석 시사점
제4장 한국관광정책의 전개과정
제1절 관광정책 체계의 발전
제2절 관광분야 부문별 정책변화
제3절 관광정책 발전과정의 평가
제5장 정부의 역할에 관한 전문가 의견
제1절 조사설계
제2절 설문조사 분석결과
제6장 향후 관광정책의 여건 전망
제7장 관광진흥을 위한 정부의 역할
제1절 정부역할설정의 기본방향
제2절 관광진흥체계의 정비
제3절 관광부문의 제정책
제8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인기 보고서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