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15.11.30
- 저자
박진영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26 Page

-
■ 연구 목적 ◦ 교통기반시설 구축을 위해 필요한 자료들을 살펴보고 국내외 교통기반시설 관련 자료 획득 및 DB 구축 상황 분석 ◦ 개발도상국 교통기반시설 DB 구축을 위해 필요한 자료들을 도출해내고 해당 자료들을 개발도상국 실정에 맞게 확보하고 구축할 수 있는 방안 제시 ◦ 정책적으로 시행가능한 다양한 국외 교통기반시설 구축 지원사업 방안을 제시 ■ 주요 연구 결과 ◦ 개발도상국 교통기반시설 DB 현황 분석 - KTDB, KOTRA 등의 공공기관의 기초자료를 현재 국내에서 수행 중인 교통관련 사업과 해외 사업에 대한 자료목록 및 확보방식을 정리하여 교통관련 DB 자료 수집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 - World Bank, OECD, ITF, ADB 등의 국제기구에서 보유한 교통기반시설 관련 DB 내용을 정리 및 분석 ◦ 개발도상국 교통기반시설 DB 구축 방안 - 교통기반시설 구축 사업을 위해 필요한 자료 목록 도출 - 개발도상국 여건을 고려한 자료수집방법 검토 ◦ 개발도상국 교통기반시설 DB 구축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제시 - 기존 교통부문 대외원조사업 개선방안 제시 - 국제협력방안 제시 - 교통산업 국외진출 지원방안 제시 ■ 정책 제언 ◦ 국내 교통부문 공적개발원조 사업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도상국의 교통부문 사업에 대한 지원전략 재고 ◦ 국제교통기반시설 사업 Hub를 구축하고 운영 ◦ 개발도상국 교통기반시설 DB 구축 사업 시행 ◦ 국제개발기구 내의 교통기반시설 사업의 자료를 축적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함 ◦ 교통부문 DB 국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국제교통 DB 센터를 설립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함
-
요 약 xv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제3절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 7
제2장 교통기반시설 및 DB(데이터베이스) 9
제1절 교통기반시설 및 DB / 9
제2절 개발도상국 교통기반시설 현황 / 20
제3장 개발도상국 교통기반시설 DB 현황 38
제1절 개발도상국 교통기반시설 DB 국내 현황 / 38
제2절 개발도상국 교통기반시설 DB 국외 현황 / 53
제4장 개발도상국 교통기반시설 DB 구축 방안 65
제1절 교통기반시설 DB 구성 / 65
제2절 DB 자료 수집 방안 / 78
제5장 개발도상국 교통기반시설 DB 구축을 위한 정책지원 방안 101
제1절 국내 교통부문 공적개발원조 사업 개선 / 101
제2절 교통부문 DB 국제협력 강화 / 106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08
제1절 결론 / 108
제2절 정책 제언 / 111
참고문헌 113
부 록 119
Abstract 125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