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카드뉴스
차량 과속방지턱
2025.04.22
-
과속 방지턱은 *교통 정온화(Traffic calming)시설로써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과속 방지턱은 차량 속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대부분의 도로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40 km/h 이하의 저속 제한을 위해 사용됩니다.
*교통 정온화
Traffic Calming 자동차의 속도와 교통량을 일부러 줄여서 보행자나 자전거의 도로 이용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만들고, 소음이나 대기오염으로부터 도로 주변 생활권을 보호해 쾌적하고 안전한 공간을 만드는 목적으로 시행되는 정책을 통틀어서 말한다.
과속 방지턱은 차량 속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긴 하지만 교통 소음을 증가시킬 수 있고 너무 빠른 속도로 횡단할 경우 차량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긴급 차량(앰뷸런스 등)을 느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또한 잘못 설계된 과속 방지턱은 너무 높거나 너무 뾰족한 각도로 설치되어 있으면 운전자에게 방해가 될 수 있으며 매우 낮은 속도인데도 불구하고 차량의 전체 높이가 낮은 차량이나 저상버스를 운전하는 사람들에게는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최근 정부에서도 과속 방지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데요. 특히 세종시에서는 '보행친화도시'를 구축하기 위해 2020년부터 저상버스 도입 및 과속 방지턱 관련 민원을 해소하고자 기준보다 높거나 좁게 설치된 과속방지시설을 대대적으로 정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영국의 경우 1999년에 규정된 잉글랜드 및 웨일즈 고속도로 규정을 기반으로 과속 방지턱
활용 및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차량 및 보행자 안전은 과속 방지턱(Speed Bump), 스피드 쿠션(Speed Cushion), 스피드 테이블(Speed Table) 등 다양한 과속 방지 설비들로부터 보장되고 있습니다.
1. 과속 방지턱(Speed Hump/Bump)
영국의 경우 과속 방지턱은 Speed Bump와 Speed Hump로 구분되어 있다.
Speed Hump는 Speed Bump보다 덜 공격적으로 속도를 낮춘다. Speed Bump의 경우 주차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또한 Speed Bump의 경우 설계는 높이 50-75mm 폭으로 되어 있고, Speed Hump는 24mm-100mm 사이이면서 경사도는 1:10보다 가파르지 않도록 해야한다.
2. 스피드 쿠션(Speed Cushion)
스피드 쿠션의 개발은 주로 소형 차량을 선호하는 유럽에 초점을 맞춰 개발되었고 과속방지턱의 단점인 비상 차량 대응 시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응급차량의 경우 환자를 이송하는데 있어 과속 방지턱이나 스피드 테이블에 비해 빨리 주행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자전거와 오토바이 같은 2륜 구동 운전자의 경우에도 위협이 전혀 되지 않고 보다 안전하고 편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3. 스피드 테이블(Speed Table)
스피드 테이블은 양쪽에 경사로가 있어 도로가 점진적으로 상승되는 공간을 말합니다.
스피드 테이블은 길고 평평한 디자인으로 인해 과속 방지턱(Speed Bump/Hump)와 스피드 쿠션(Speed Cushion)에 비해 크게 느려지지 않고 지나갈 수 있어 차량 속도를 급격히 줄이지 않으면서 도로 속도 제한에 맞춰 지나갈 수 있기 때문에 주거 속도 제한이 있는 도로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과속을 예방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다양한 제도와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과속 방지턱은 속도 제한에 아주 효과적이지만, 감속과 재 가속하는데있어 소음과 배기가스를 더 방출하게 하고 소방차나 앰뷸런스와 같은 응급 차량의 경우 반응 속도가 최대 10초 늦어지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면도 많습니다.
한국 정부는 과속 방지턱 배치 시 주변 환경, 주요도로 여부등을 판단하여 과속 방지턱을 설치한다면 많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만큼의 설비 제거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신중히 과속 방지턱을 규격에 맞춰 설치해야 합니다.
* 해당 카드뉴스는 ‘KOTI 교통사고 제로화 브리프 Vol.9_No.1’을 일부 수정·보완한 뒤 제작하였습니다.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