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
# 2019년, 상주-영천 고속도로 47중 추돌사고 발생
- 2019년, 제2영동고속도로 21중 추돌사고 발생
- 도로 위의 조용한 폭탄, 블랙 아이스! 실제로 지난 2019년에는 블랙 아이스로 인한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해 많은 안타까움을 샀습니다.
- 블랙아이스 교통사고는 일반 눈길에서 일어나는 사고와는 어떻게 다를까요? 또 어느 정도의 기온일 때 발생하는 블랙아이스 교통사고가 가장 치명적일까요?# 한국교통연구원은 블랙아이스 교통사고의 위험성을 알리고, 안타까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블랙아이스 교통사고에 대해서 분석해봤습니다.
- 최근 5년간(15년~19년)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블랙아이스(서리/결빙) 교통사고 사망자가 적설 교통사고에 비해 3.7배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특히, 지난14년간(2005년~2019년)의 교통사고 분석 결과, 서리/결빙 교통사고의 치사율은 겨울철 평균기온이 영상 2℃를 넘어서면 3배 가까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블랙아이스 교통사고는 대부분 지방 관할 도로에서 발생하며, 사망자 수 역시 시도에서 47명(27.6%)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교통사고 치사율을 살펴보면, 고속국도에서 발생한 블랙아이스 교통사고의 치사율이 13.2%로 전체 교통사고에 비해 9.0배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 이처럼 발생하는 블랙 아이스 교통사고,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한국교통연구원 임재경 국가교통안전·방재연구센터장은 눈이 내리는 경우는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지만 블랙아이스는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사고발생 시 치사율이 2배나 더 높다. 최근 기후 온난화의 영향으로 운전자들이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블랙아이스를 더 예측하기가 어려워졌다. 겨울철 기온이 영상인 경우에도 블랙아이스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 블랙아이스 교통사고는 대부분 시도·특별광역시도·지방도·군도와 같은 지방자치단체 관리 도로에서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각자 상습 결빙 지역 등에 대한 염화칼슘 예비 살포 등 지자체별 블랙아이스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선제적 조치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 겨울의 끝자락, 따뜻한 날씨에도 절대 방심할 수 없는 블랙 아이스! 안전한 운전으로 블랙 아이스로 인한 사고가 사라지기를 기대합니다.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