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
# 산업 성장과 전자상거래 확산, 그리고 1인가구의 증가, 대도시 인구 집중에 따른 도시화의 급진전은 소량다품종 물류처리 및 신선물류 등 국민생활에 한 발짝 더 다가간 물류서비스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런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물류센터의 대형화, 첨단화, 스마트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습니다.# 먼저 글로벌기업의 스마트화 동향을 알아보면, 이러한 변화의 최전선에서 스마트화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기업은 미국의 아마존입니다. 아마존 물류센터 공급 및 운영 정책의 핵심키워드는 대형화와 스마트화로 정의되는데요.
# 처리물량의 증가와 센터 대형화에 따라 아마존은 신속, 유연한 물류처리를 위해 인력 중심의 운영구조를 AI, 로봇 기반의 스마트물류센터로 전환 중입니다. 작업자가 이동할 필요 없이, 피킹한 제품이 적치된 랙이 스스로 피킹존까지 이동해 효율적입니다.
# 물류센터의 스마트화 투자는 전자상거래 기업과 물류기업뿐 아니라 제조업 및 일반유통업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독일의 생활용품기업 헹켈은 디지털트윈 개념을 활용해 아래 그림과 같이 실제 물류센터 내 장비 및 화물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도록 구현하고, 가상 시뮬레이션도 가능합니다.# 국내에서도 유통업계와 택배업계를 중심으로 스마트물류센터 도입이 활발합니다.
생활용품 유통업체인 다이소는 용인에 최첨단 시설을 갖춘 허브물류센터를 오픈했습니다.
이 센터에는 물류자동화 솔루션을 도입해 물류 전 과정을 자동화하여, 이를 통해 창고 운영비용이 매출액 대비 4% 수준에서 2% 수준으로 낮아졌습니다.# 또한 롯데슈퍼는 의왕시에 스마트물류센터 ‘오토프레시’를 구축했는데요.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로봇이 직접 찾아 피킹하는 ‘GTP 피킹시스템’을 도입해 주문처리시간을 단축하고, 정확도를 향상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센터 대비 2배 이상의 생산성을 높였습니다.
# 앞의 사례와 같이, 현재 글로벌 주요 화주·물류기업은 스마트물류센터를 구축·활용하는 단계에 접어들었으나,
국내의 경우 스마트화보다는 스마트물류센터를 단순히 자동화하는 구축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데요.# 이에 한국교통연구원에서는 각 기업의 현재 수준과 투자역량 등을 감안해
스마트물류센터의 단계별 도입전략을 마련할 수 있도록 물류센터 스마트화 5단계 체계를 제시했습니다.# 4차산업혁명의 핵심주제 중 하나로 스마트물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비대면 경제활동이 급성장함에 따라 생활물류 부문에서도 스마트물류센터의 중요성이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 택배물량이 많아짐에 따라 물류센터에서의 과로사, 사고사 등의 인명사고가 많아진 요즘.
물류센터의 스마트화를 통해 생산성의 향상과 비용 절감뿐 아니라 안전, 친환경, 보안 등 사회적 편익이 향상되기를 기대합니다.해당 카드뉴스는 한국교통연구원의 KOTI 물류브리프 Vol.12 No.2 중 ‘물류센터의 스마트화 동향과 정책’을 일부 수정·보완한 뒤 제작하였습니다.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