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
# 자율주행 셔틀은 대중교통 개념의 운송 수단으로 자율협력주행이 가능하며, 자율주행 승용차보다는 자율주행기술의 운용 폭이 넓어 상용화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이에 국내외 여러 자율주행 스타트업들이 개발과 함께 서비스 상용화에 매진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국내외 주목할만한 자율주행 셔틀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볼까요?
# 2getthere의 GRT
네덜란드 자율주행 전문기업 2getthere가 선보인 GRT(Group Rapid Transut)는 운전석이 없고 양방향 도어가 있는 자율주행차량 입니다. 미니버스형으로, 최고 시속 60km까지 내며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데요.
GRT의 특징은 장애물 인식률이 매우 높아 악천후 기상 조건에서 90% 정도 운행률을 기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 EasyMile의 EZ10
프랑스 대표 자율주행 전문기업인 EasyMile은 EZ10을 선보였는데요. EZ10은 레벨4 자율주행으로 무인 운전자, 100% 전기 자동차이며 최대 12명을 태울 수 있다고 합니다. 고정경로 혹은 온 디멘드 서비스 운영 모드이며, 자사의 자율주행 셔틀이 글로벌 시장에서 60% 점유와 상당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Baidu의 apollong
중국 대표 IT 기업 Baidu는 2013년부터 자율 주행차 개발에 뛰어들었습니다. 최근 중국 자동차 제작업체 King Long과 파트너십을 맺고 Apollo 미니버스(apollomg)를 출시하였는데요. 자율주행기술 레벨 4단계로 14명을 태울 수 있으며 운행속도 시속 20km, 최대속도 40km/h로 한 번 충전하면 130km를 갈 수 있다고 합니다. 다양한 환경의 도로에서 1만 km 주행 경험이 있으며 1만 명 이상의 승객이 시승을 마쳤다고 밝혔습니다.
# Sensible4의 GACHA
GACHA는 핀란드의 자율주행기술 회사인 Sensible4와 일본의 Muji가 협력하여 출시한 자율주행 셔틀입니다. 차량 디자인 담당은 Muji가 하고, Sensible4는 세계 최고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Dawn을 설치하였는데요. 이 자율주행 셔틀에는 혹독한 겨울에도 안전하게 작동하도록 특수 센서가 장착돼 있어 눈길도 거침없이 달리는 전천후 셔틀로 알려져 있습니다.
# Unmanned Solution의 WITH:US
WITH:US는 국내 기업 언맨드 솔루션(Unmanned Solution)이 최초 독자 개발한 자율주행 셔틀입니다.
운전석이 없는 완전 자율주행 셔틀로 SAE기준 레벨4 이상의 자율주행시스템을 구현한다고 하는데요.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위더스(WITH:US)는 운전석이 없는 실내 공간이 특징이며, 고도화된 자율주행 기술과 스스로 주변 상황을 인식하여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고 합니다.
# ETRI의 AutoVe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이 시범 운행하는 자율주행 셔틀 AutoVe는 자율주행을 뜻하는(Autonomous Driving)에 이동체(Vehicle)를 합성한 이름으로 운전자가 없는 진정한 자율주행 기술을 상징합니다.
AutoVe에 적용한 고성능 AI 알고리즘을 통해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인공지능 기반 음성 대화 인터페이스 기술도 구현되고 있다고 합니다.
# Spring Cloud의 타시오
스프링 클라우드(Spring Cloud)는 인공지능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스타트업으로, 국내 최초 자율 주행 셔틀 서비스를 시작했는데요. 현재 서울과 여수 일부에서 상업 운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스프링클라우드는 자율주행 융합 신기술 서비스 신사업 육성을 통해 외산에 대응할 수 있는 국내 기업 간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자율주행 전문기업의 다양한 자율주행 셔틀을 살펴보면, 각각 차별화된 기술 및 서비스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이렇듯, 각 기업에서 자율주행 셔틀에 지속적인 관심과 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춰 연구개발과 운영을 가속화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노력은 향후 우리가 만나게 될 자율주행 셔틀을 가치있는 교통수단으로 만들 것이라 기대합니다.
* 해당 카드뉴스는 한국교통연구원의 월간교통 2022년 4월호 중 '국내외 주목할 만한 자율주행 셔틀'을 일부 수정·보완한 뒤 제작하였습니다.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