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해 힘쓰고 있는데요. 이에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휘발유나 디젤보다 더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LPG 자동차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 과거 LPG 자동차는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에게만 제한적으로 허용됐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난 2019년에 누구나 쉽게 구매를 할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되었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정부가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함이었다고 합니다.
# 질소산화물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먼지 때문에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디젤·가솔린 차량의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LPG 차량의 미세먼지 배출량이 훨씬 낮게 나타났고, 이는 환경오염 문제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 미세먼지에 많이 노출되어있는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LPG 차량은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을까요?
LPG 연료는 20세기에 탄생하였지만, 처음에는 큰 인기를 얻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한 투자자가 성장 가능성을 보았고, 이 기세를 이어서 LPG 제조사를 설립했습니다.
# 초기의 LPG는 난방이나 취사용으로 사용되었지만, 휘발유와 연료의 특성과 유사함이 알려졌는데요.
이후 자동차에 LPG 엔진을 정식으로 탑재한 쉐보레 시관용 자동차로 인해 LPG 자동차 시대가 본격화되기 시작했습니다.
# 그렇다면, 우리나라에 LPG 차량은 언제 확산 되었을까요?
우리나라에는 1960년대에 도입되었고, 정부는 도심의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LPG 버스를 시범적으로 도입했는데요.
하지만, 1960년대 후반 LPG 품귀현상이 나타나 정부는 LPG 운송수단의 확산을 제재하였습니다.
# 그렇지만, 1970년대 휘발유와 경유의 가격이 오르게 되면서 LPG 자동차가 다시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이는 연료가격에 민감한 택시 운수업자들에게 반가운 소식이었는데요.
석유파동 이후에는 휘발유와 LPG의 높은 가격 차이로 LPG 택시는 더욱 빠른 속도로 확산하였다고 합니다.
# 최근 2050 틴소중립 선언과 함께 전기·수소차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단기간에 무공해 자동차로 바꾸기에는 한계가 있어 초점이 맞춰진 것이 바로 LPG 자동차인데요.
LPG는 다른 화석연료 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약 20% 낮게 나타난다고 하여 유럽이 LPG 차량에 주목하고 있다고 합니다.
# 이렇듯, 전 세계는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무공해 자동차에 주목하고 있고, LPG 자동차의 중요성도 점점 커지고 있는데요.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장점을 널리 알려 LPG 자동차 사용량이 많아진다면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우려하고 있는 문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 해당 카드뉴스는 한국교통연구원의 월간교통 2022년 5월호 중 'LPG 자동차의 과거와 미래'를 일부 수정·보완한 뒤 제작하였습니다.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