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
최근 전 세계에서 드론의 유용성으로 무인항공기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드론의 성능 향상으로 도심항공교통(UAM), 개인용 항공기(PAV) 등 새로운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이 급속히 발전하였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무인항공기의 활성화를 위한 드론산업 육성과 도심항공교통 시범운영 등 관련 정책이 논의되고 실제 집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특정분야에 치우친 정책지원 및 관련 사업을 육성하는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무인항공기 상용화를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무인항공기 상용화 정책1. 소형 무인항공기인 드론을 활용해 소형물류 운송산업이 먼저 태동2. 도심항공교통(UAM)에 의한 운송산업의 상용화 진행
3. 가까운 미래에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화물과 여객 운송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
법·제도 및 정부 조직 현황
주로 조종사가 탑승한 유인항공기의 운송산업 지원 ➡ 무인항공기 운송산업의 지원 및 육성을 위한 것은 미흡법적인 용어의 모호함과 상충 되는 문제점<무인항공기의 정의>1. 우리나라 무인항공기
무인항공기를 사람이 탑승하지 아니하고 원격조종 등의 방법으로 비행하는 항공기
2. 국제민간항공기구2. UAM 운영개념 1.0 수립 ➡ UAM 이착륙을 위한 버티포트 등의 인프라와 주파수 등 운영 고려조종사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항하는 항공기
➡문제점: 모호한 용어로 관련 부서와 산업계, 학계, 연구계에서는 많은 혼란 확대·재생산정책개선방향
1. 무인항공기 법·제도 통합관리
2. 안전 운항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3. 혼재된 무인항공기(드론 등 포함) 관련 정의 통일무인항공기 상용화를 위한 운영 현황1. 교통관리를 위한 UTM 연구 수행 ➡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 개발 중문제점)RPAS에서 사용하는 C2 링크 및 유무인 항공기의 통합 운영을 위한 절차, 무인항공기 종사자 자격 등의 문제점이 해소할 필요
* RPAS(Remotely Piloted Aviation Systems): 원격 조종 항공 시스템
운영 개선 방향① 무인항공기 전체의 체계적인 운영개념 수립과 C2 링크 통신기술/기술기준 확보
② 안전 운항을 위한 운영시설 구축과 기술기준 마련
③ 유인항공기와 무인항공기를 통합 운영을 위한 항공교통관제절차 개정안 마련
④ 무인항공기의 다양한 자격제도/교육훈련 마련국내 무인항공기 시장동향과 개선방안
1. 시장동향: 드론, UAM의 활성화로 민수시장 규모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
2. 개선방안
- 무인항공기 시장 확대를 위한 연구
- 화물운송 활성화 전략 수립
- 기존 산업과의 융합전략
- 운송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무인항공기 상용화를 위한 기술에서의 문제점
문제점) 초기 무인항공기의 조종사 탑승에 관한 감항, C2 링크 등 시스템에 대한 감항 등이 필요
개선 방향
① 유인항공기 인증제도 또는 해외 무인항공기 감항기준과 동등한 수준의 국내 인증제도 마련
② 감항기준 설정에 위험기반접근(Risk-based Approach) 평가제도 도입
③ 무인항공기 초기 운영 시 조종사 탑승을 고려한 기술기준 마련
④ 무인항공기 BASA 절차 도입 *BASA: 항공안전협정연구개발분야에서의 문제점문제점) 2011년부터 무인항공기 관련 연구 시작 ➡현재 일부 무인항공기 위주 연구 진행
개선방안)
- 운영 전문가 육성
- 일부 무인항공기 운영과 관련된 신기술 발굴 및 연구개발 투자 확대
- 무인항공기 개발에 필요한 시범운영 지역·시설·공역 등의 확충항공운송산업의 대중화로 운송 규모가 급성장하여 2019년 기준 우리나라는 국제·내 운송을 포함한 항공운송 실적 면에서 세계 8위를 차지할 정도로 위상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정책 방안들이 향후 우리나라의 유인항공기 운송산업과 더불어 무인항공기 운송산업도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할 때입니다.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