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기본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page_top_research (1).jpg
항공기 지연결항 분석 및 관리 체계 개선 연구
  • 발간일

    2020.11.30

  • 저자

    김명현,박선욱,배지헌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85 Page

#항공수요 증가; 지연결항; 항공기 지연 기준
기본연구이미지

우리나라는 게이트 15분을 기준으로 하는 해외 주요국과 달리 이착륙 기준 국내선 30분, 국제선 60분을 지연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공항당국에서는 시각주기유도시스템(VDGS, Visual Docking Guidance System)을 통해 게이트 접이현 시간 수집이 가능한 인천공항과 더불어 김포, 김해, 제주공항도 공항시설 개선에 힘입어 자동으로 게이트 접이현 시간 수집이 가능해짐에 따라 해외 주요국과 같이 게이트 15분 지연 기준 도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한편, 항공기 지연은 용량 대비 교통량(V/C)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도로, 철도와 같은 공로수단과 달리 공항, 항공사, 승객, 기상상황 등 매우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대체기 투입 등의 어려움으로 한 번 발생한 지연이 이어지는 항공 스케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지연 기준 개정 추진에 발맞춰 실제 우리나라 항공기 지연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항공기 지연 특성 확인과 함께 지연 관련 정책 및 법제도 개선안을 제시하였습니다.

의학계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생존분석을 활용하여 실제 국내선 제주공항, 국제선 인천공항의 지연이 타 공항 대비 빈번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2시간 이내의 G/T를 가지는 항공편 기준 분석 결과 여유시간(버퍼)의 존재가 지연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또한, 발생한 지연을 신규발생지연과 파급지연으로 구분하여 타 공항 및 노선 지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항과 노선을 분석하였으며, 실제로 제주발 노선과 함께 김포, 청주, 군산 등에서 제주로 향하는 노선의 지연 파급효과가 큰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제주공항 및 제주 관련 노선이 혼잡하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나, 지연율 또는 지연시간 외에 연결되는 노선의 지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항 또는 노선을 확인했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하 원문 확인>


요 약 xiii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제3절 선행연구 고찰 및 본 연구의 차별성 / 4

제2장 항공기 지연결항 관리체계 검토 5
제1절 국내외 지연결항 기준 및 관리체계 검토 / 5
제2절 우리나라 지연결항 추이 분석 / 10
제3절 분석결과 종합 및 시사점 / 15

제3장 항공기 운항 원자료 기반 지연결항 분석 방법론 17
제1절 항공기 운항 원자료 수집 및 분석자료 구축 / 17
제2절 항공기 지연결항 원인 변수 도출 및 세부 구분 / 23
제3절 항공기 지연결항 분석 방법론 설정 / 38

제4장 항공기 지연결항 세부 분석 결과 47
제1절 공항/항공사/노선별 지연 특성 분석 / 47
제2절 최초 지연편 분석을 통한 공항별 지연 특성 구분 / 66

제5장 항공기 지연결항 관리체계 개선 방향 82
제1절 현행 지연결항 관리체계의 한계점 / 82
제2절 항공기 지연 분석을 위한 협업체계 구축 / 86
제3절 항공사/공항별 지연결항 평가지표 다양화 / 92

제6장 종합결론 및 향후과제 126
제1절 결론 및 시사점 / 126
제2절 한계점 및 향후 연구 / 127

참고문헌 129

부 록 133
부록 1. 2015-2019 우리나라 국제선 취항 도시 정보 / 134
부록 2. 2015-2019 우리나라 취항 항공사 정보 / 139
부록 3. 2019년 국제선 노선별 스케줄/실제 G/T 정보 / 142

Abstract 149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항공안전·UAM연구팀 팀장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