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2024년 주요연구ㆍ사업

당해연도에 수행중인 주요 연구ㆍ사업의 기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8484662F81_1688976531202_20.jpg
주요 사업 2024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사회적 수용성 지원사업
  • 연구기간

    2024.01.01 ~ 2024.12.31

  • 연구 책임자

    백승한,박진서,김명현

#도심항공 모빌리티 #미래항공 모빌리티 #대중수용성 #잠재적 우려 #항공정책지원 #Urban Air Mobility #Advanced Air Mobility #Public Acceptance #Potential Concerns #Aviation Policy Consulting
27.jpg
1. 연구책임자
- 백승한 부연구위원, 박진서 연구위원, 김명현 부연구위원

2.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2-1. 제3차 항공정책기본계획(’19.12)은 미래항공산업의 혁신적 패러다임 구축 전략목표의 추진과제 중 하나로 UAM 선도를 포함,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21.09)은 김포공항을 UAM 등 미래교통허브 공항으로 육성하고, 인천공항에 UAM 도심노선 실증 및 운항관리체계를 개발하여 미래 신산업 육성을 지원하는 계획을 포함
⊙정부는 최초 서비스 도입을 2025년으로 설정하고 도입 수준을 초기(’25~’29), 성장기(’30~’34), 성숙기(’35~) 3단계로 구분

2-2. 또한 2023년 1월 10일에 고시된 제2차 항공안전정책기본계획(2023∼2027)에서는 항공안전 6대 추진과제 중 新 항공모빌리티 종합안전체계 구축으로 UAM 안전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수립함

2-3.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의 주요 하위개념인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는 우리나라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으며, 과거에도 도심지역의 신교통수단으로 경전철(수도권 및 광역권), 수상택시(서울특별시)가 주목받은 바 있으나 실제 운영단계에서 저조한 수요와 대중수용성의 한계가 지적

2-4. 우리 연구원은 2022년에 4개 기관 간 MOU 체결(KOTI, SKT,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간), 7개 공공기관 협의체 MOU 체결(KOTI, 법제연, 한국공항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LX, 한국기상산업기술원, 한국전파진흥협회) 등을 통해 협업체계를 구축
⊙우리 연구원은 UAM 서비스 수요예측*, 대중수용성 연구를 담당
* 수요예측은 2022년 연개금 및 UAM 시범사업 지원 연구(국토부 수탁)를 통해 수행 중

2-5. 2차년도(2024년)에는 1차년도에 이어서 대중수용성에 대한 전문가 및 일반인의 인식조사를 지속하고, 더 나아가 비이용자 관점에서 대중수용성 제고 및 잠재적 우려 사항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 제시 필요
⊙1차년도(2023년)에 이어서 연속적인 모니터링 체계 구축 필요
⊙정부의 최초 상용화 계획(2025년) 1년 전 시점에서 시행착오 최소화 및 안정적인 수단 정착 지원을 위한 정책 기여 강화 필요

3. 연구 목적
3-1. 본 연구는 3개년에 걸쳐 미래항공모빌리티(AAM)의 도입 초기 단계(2025~2029년)에 대중수용성 제고 및 잠재적 우려 사항에 대한 해소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수단 정착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1차년도(2023년): OPPAV 도입방안 연구(2019~현재) 등 국내외 선행연구,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2020.05), K-UAM 기술 로드맵(2021.03)과 연계한 (사전) 대중수용성 및 잠재적 우려 사항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2차년도(2024년): K-UAM Grand Challenge 추진 상황, 도심항공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방안(2022년 연개금 추진) 연구 결과와 연계한 (사전) 대중수용성 제고 방안 지원
⊙3차년도(2025년): 2025년 최초 도입 연도 초기 성과와 연계한 대중수용성 제고 및 잠재적 우려 사항 해소 방안 지원

4. 선행연구 현황 및 선행연구와 본연구의 차별성
4-1. 유사 선행연구들은 미래 교통산업 전망, UAM 기술로드맵 미시적․거시적 관점의 수요예측, 이착륙시설의 최적 입지 및 확장 가능성 검토에 주안점을 둠.

4-2. 본 연구의 가장 큰 차별점은 도입 예정인 신교통수단인 UAM의 대중수용성, 잠재적 우려사항을 파악하여 안정적인 수단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발굴 제시하는 데 있음.

5. 연차별 주요성과 요약
5-1.  1차년도(2023년) 주요성과
⊙UAM 대중수용성 관련 인식조사 및 설문조사 시행
- 인식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대중수용성 및 잠재적 우려사항 파악, 이용자 대상 대중수용성과 잠재적 우려 사항 해소를 위한 WTP 추정
- 연구결과 별도 제시, 조사결과를 근거로 분석한 보고서 관련 부처 전달(정책 기여)

⊙UAM 대중수용성 자문단 운영을 통한 대중수용성 제고 방안 마련
- 5개 부문 산학연 전문가 구성·운영, 정부가 추진 중인 대중수용성 부문 지원
- 범정부 추진 UTK 활동업무와 별도로 추진, 대중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우려사항 발굴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 결과 및 정책적 기여도 확산 활동
- K-UAM 대중수용성 제고를 위한 자문단 회의, K-UAM 대중수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 세미나 개최
- 1차년도 연구 결과 및 정책 세미나 주요 결과를 월간 교통 특별 세션으로 게재

6. 주요 연구내용
6-1. 서론
⊙연구의 배경 및 목적

6-2. 국내외 관련 연구 및 추진 동향 조사
⊙국내외 수요예측 및 대중수용성 관련 연구 고찰
⊙국내외 사업 추진 동향 조사
- 국내: K-UAM Grand Challenge, 시범사업 등

6-3. 대중수용성과 잠재적 우려사항 파악을 위한 인식 조사 및 시사점 도출
⊙1차년도 주요 결과 요약
⊙2차년도 인식 조사 설계 및 수행 결과
⊙1, 2차 년도간 비교 및 시사점 도출

6-4. 대중수용성 영향 검토를 위한 설문조사 및 시사점 도출
⊙1차년도 설문조사 주요 결과 요약(이용자 관점 WTP)
⊙2차년도 설문조사 설계 및 수행 결과(비이용자 관점 WTP)
⊙대중수용성 제고 및 우려사항 해소 관련 이용자 및 비이용자 관점의 차이 비교를 통한 시사점 도출

6-5. 대중수용성 제고를 통한 정책지원 방안 발굴
⊙2차년도(2024년): K-UAM Grand Challenge 추진 상황, UAM 관련 국내 연구 결과와 연계한 (사전) 대중수용성 제고 및 잠재적 우려 사항 해소 방안 발굴
⊙3차년도(2025년)에 대한 향후 연구 방향 제시
- 2025년 최초 도입 연도 초기 성과와 연계한 (사전 및 사후) 대중수용성 제고 방안 발굴 관련 향후 연구 제시

7. 연구 추진방법
7-1. 국내외 관련 연구 및 추진 동향 조사 및 시사점 도출

7-2. 대중수용성과 잠재적 우려사항 파악 및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한 인식 조사
⊙관련 전문가 및 일반인 대상 인식 조사
- 1차년도에 이어서 동일 패널을 포함하여 인식의 변화 추이 분석

7-3. 대중수용성 영향 검토를 위한 설문조사 및 시사점 도출
⊙대중수용성 제고 및 우려사항 해소 관련 비이용자 관점의 WTP 추정(CVM 분석)
- 1차년도에는 이용자 관점의 WTP 추정

7-4. 대중수용성 제고를 통한 정책지원 방안 발굴 및 확산
⊙2차년도 인식 및 설문조사 결과, 1ㆍ2차년도 간 비교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응 방안 마련
⊙UAM 자문단을 통한 정책 지원 방안의 구체화
⊙자문단 회의, 정책 세미나 개최 등을 통한 연구 결과 및 정책적 기여도 확산

8. 연구기간
- 2024.1.1~2024.12.31


#도심항공 모빌리티
#미래항공 모빌리티
#대중수용성
#잠재적 우려
#항공정책지원
#Urban Air Mobility
#Advanced Air Mobility
#Public Acceptance
#Potential Concerns
#Aviation Policy Consulting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항공우주교통연구본부 부연구위원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