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한국교통연구원

회원가입
검색
Korea transport institute
> 발간자료 > 기본연구보고서

기본연구보고서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인쇄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첨부파일을 클릭하시면 무료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구매' 버튼은 인쇄물 입니다)

모빌리티 빅데이터 기반의 국민 사회·경제활동 분석

모빌리티 빅데이터 기반의 국민 사회·경제활동 분석

저자
김주영, 장동익, 김동호, 김관용, 추상호
발간일자
2020-11-30
발행기관
한국교통연구원
언어/페이지수
국문 / 195 Page(s)
키워드
모빌리티 빅데이터; 교통빅데이터 활용; 모빌리티 분석
가격
\9,500 구매
다운로드
기본-RR-20-13_모빌리티 빅데이터 기반의 국민 사회경제활동 분석(최종).pdf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1.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모바일 기지국 데이터, 차량 GPS 데이터, 대중교통카드 데이터 등 교통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민의 계층(연령대별, 지역별, 통행권별)별 모빌리티를 분석함으로써 국민의 사회·경제학적 현황 및 도시구조의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2. 모빌리티 빅데이터의 현황 및 구축방법론

주요 모빌리티 빅데이터로는 사람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는 모바일 기지국 데이터, 차량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는 차량 GPS 데이터, 대중교통 이용자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는 대중교통카드 데이터, 소비행태를 파악할 수 있는 신용카드 데이터 등이 있다. 모바일 기지국 데이터는 통신사에서 구축하고 있는 기지국 위치정보 형태의 데이터이며, 한국교통연구원은 통신사의 원천자료를 브로노이기법을 이용하여 기지국셀 단위의 위치정보로 변환한 후, 개인별 통행사슬DB를 구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더불어, 매일매일의 통행패턴을 분석하여 주거지, 직장유무, 직장위치, 통행목적 등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통근시간, 직주거리 등 다양한 지표를 양산할 수 있다. 차량 GPS 데이터는 내비게이션 및 운행기록계정보(DTG) 등과 같이 초 단위로 차량의 위치를 수집하는 데이터이며,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동경로, 도로 구간별 통행속도 및 교통량, 교차로별 대기행렬길이, 통행시간 등 다양한 지표를 생산할 수 있다. 대중교통카드 데이터는 대중교통 이용자가 대중교통을 승・하차할 때 태그하는 정보로 승하차 정류장, 차량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이를 이용하여 차량 내 혼잡정보, 정류장별 승하차정보, 환승정보 등 다양한 지표가 생산될 수 있다.



<이하 원문 확인>


개인정보 이용동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하셔야 합니다.
확인
닫기

SNS인증

본인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 -
인증번호 발송 취소
닫기

SNS인증

고객님의 휴대폰으로 인증번호를 전송하였습니다.
수신하신 인증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
※ SMS 인증번호가 수신이 안되시나요?
휴대폰의 스팸설정여부 및 스팸편지함을 확인해 주세요.
착신관련 서비스를 사용중인 경우 SMS 인증문자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인증번호 발송 취소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