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수시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page_top_research (1).jpg
친환경자동차(Green Car) 활성화에 대비한 도로수용성 연구
  • 발간일

    2013.02.26

  • 저자

    성낙문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21 Page

#친환경자동차 #Green Car #하이브리드차 #전기자동차 #수소연료전지차 #교통인프라 #충전인프라 #도로수용성
tn_00133184.jpg

■ 친환경자동차의 확산에 대비한 수용성 검토 및 시스템적 접근 필요 ○ 친환경자동차 시장은 하이브리드차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차량 기술의 발전과 제반 인프라 구축으로 향후에는 전기자동차와 수소연료전지차 중심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됨 ○ 하지만 아직까지 친환경자동차를 위한 충전인프라 구축이 미비하고 이와 관련된 교통서비스도 부족한 실정 ○ 특히, 전기자동차의 경우 1회 충전에 의한 주행거리 제약, 충전인프라 구축 미비로 인한 운행불편이 예상되므로, 도로수용성 측면에서 체계적인 충전인프라 구축 계획과 전략이 필요함. 또한 충전인프라 보급만으로는 전기자동차 이용에 한계가 있으므로 충전정보, 교통정보 등 통합정보서비스의 제공 필요 ■ 친환경자동차 도로수용성 확보방안 친환경자동차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교통부문에서 친환경차량에 대한 도로수용성 검토 및 대응전략의 마련 요구되며, 다음과 같이 도로수용성 확보방안 제시 ○ 충전인프라 구축 시 세제 혜택과 설치를 위한 허가제도를 개선하여 체계적인 충전인프라 구축계획 수립 ○ 도로 교통인프라와 충전인프라를 연계하기 위해 충전시설의 관리 및 충전정보는 ITS 서브시스템으로 통합관리하고, 충전상태, 충전경로 찾기, 방전 시 응급지원, 주변 충전비용 탐색, 전기자동차 진단 등을 위해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 교통인프라와 연계하는 방안으로써 친환경자동차 전용차로 이용과 친환경자동차의 전용번호판을 활용한 통행료 및 주차료 감면, 전용주차구역 자동진입, 통행우선권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정책 추진 ○ 전기동력의 도시인프라체계 구축을 위해 자동차-전력망 연계체계(V2G) 구축, 전력망과 도로인프라 체계와의 통합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


Ⅰ. 연구의 개요 / 1



Ⅱ. 친환경자동차 시장동향 분석 / 5



Ⅲ. 친환경자동차 정책 현황 / 16



Ⅳ. 친환경자동차의 도로수용성 확보방안 / 22



Ⅴ. 결론 / 29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