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22.05.14
- 저자
안근원,진광성,김범일,신희철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291 Page
-
본 연구는 친환경차를 보급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친환경차 이용자가 쉽게 접근하기 위한 충전인프라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하여, 첫째, 현시점에서 충전인프라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둘째, 이러한 충전인프라 문제점의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셋째, 충전인프라의 보급 및 확대를 기존과 같이 정부 주도 사업에서 민간 중심으로 전환하여 충전인프라 구축 및 관리할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하 원문 확인> -
요 약 xiv
제1장 연구의 개요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4
제3절 연구 수행 방법 6
제4절 선행연구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8
제2장 수소․전기차 현황진단 및 문제점 분석 11
제1절 국내 수소․전기차 지원정책 및 보급현황 11
제2절 국외 수소․전기차 지원정책 및 보급현황 67
제3절 수소․전기차 충전사업 현황 및 이해관계자 분석 89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10
제3장 수소․전기차 이용 및 충전행태 분석 115
제1절 수소․전기차 이용자 이용행태 분석 115
제2절 수소․전기차 충전인프라 충전행태 분석 143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60
제4장 충전인프라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수익성 분석 163
제1절 수소․전기차 충전인프라 수익성 분석항목 설정 163
제2절 수소․전기차 충전인프라 유형별 수익성 분석 172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85
제5장 수소․전기차 충전인프라 민간투자 및 이용 활성화 전략 187
제1절 충전인프라 활성화 기본방향 188
제2절 충전인프라 보급 및 확충 전략 201
제3절 충전인프라 관리운영 및 유지관리 전략 211
제4절 충전인프라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전략 219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227
제1절 요약 및 결론 227
제2절 정책적 활용방안 230
제3절 향후 연구과제 231
참고문헌 233
부 록 239
Abstract 249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