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19.01.19
- 저자
최진석,서종원,김 훈,문진수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05 Page

-
■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철도네트워크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 이를 위해 우리나라 철도네트워크 정책의 작동체계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하는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을 분석하며, 계획이 실행되는 과정을 분석
○ 이를 통해 우리 시대 철도네트워크 정책의 개선 대안을 제시할 예정
■ 주요 연구 결과
○ 비전 및 목표가 지나치게 정량적인 것에 치우쳐 연장(㎞), 예산 등이 강조. 향후 질적(質的) 수준, 즉 (준)고속선 비율이나 활용도 제시 필요
○ 타 교통수단 투자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철도투자정책의 평가지표로서 공감을 얻기 어려우므로 국민 1인당 철도 이용거리 등 새로운 지표를 제시
○ 편익의 경우, 지역균형발전을 평가하기 위한 지역발전 사례를 기술하고 이를 철도투자와 연계 달성하기 위해 지자체의 정책방향을 함께 제시
○ 사업 선정 기준은 예비타당성 조사 기준인 경제성, 정책성, 지역균형발전을 준수하되, 주무관청(국토교통부)의 전문성이 확보된 부분의 평가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네트워크 효과 유무, 안전성, 공공성 등)
■ 정책 제언
○ 국가철도망 계획은 제3자에 의한 냉정한 계획이 아닌 지자체의 올바른 정책결정을 유도하는 자문(consulting)이 될 수 있어야 함
○ 「철도건설법」이 「철도의 건설 및 철도시설의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로 대체되어, 신규건설 중심의 철도네트워크 정책은 기존 철도시설의 유지관리를 포함하는 정책으로 거듭날 예정이므로 시행령 또는 시행규칙에 해당 내용을 충분히 담아야 할 것임
-
요 약 xi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론 / 3 제2장 철도네트워크 정책의 개념정의 4 제1절 기본 개념 / 4 제2절 철도네트워크 정책 / 5 제3절 철도네트워크 정책 작동구조 / 14 제3장 철도네트워크 정책의 문제점 진단 17 제1절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분석 / 17 제2절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실현과정 분석 / 36 제3절 정치적 해석에 따른 문제점 / 45 제4장 미래 철도네트워크 정책 방안 53 제1절 기본 방향 / 53 제2절 계획수립 접근법 개선 / 54 제3절 소결 / 76 제5장 결론 및 제언 79 제1절 결론 / 79 제2절 제언 / 81 부 록 83 참고문헌 87 Abstract 89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