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21.01.31
- 저자
송기한,한익현,최솔샘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9 Page

-
❚ 연구의 필요성
2021년은 2020년 코로나19로 인하여 받은 피해에서 회복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새로운 항공산업 패러다임 전환을 준비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다.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로 항공시장 불확실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UAM(Urban Aviation Mobility) 등 미래 항공운송이 우리 일상으로 더욱 가깝게 다가오고 있다. 현재 어떠한 국가도 포스트 코로나 항공정책 방향에 대한 정답을 찾지 못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혁신성장, 한국판 뉴딜 등을 통한 코로나 극복 국가 역량을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2021년은 미래 항공산업 성공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급변하는 2021년에 대한 항공운송산업 전망에 대한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
❚ 2021년에 대한 전망
외부 변화를 살펴보면, 코로나19로 글로벌 경제 악순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보호 무역주의 확산, 소비감소 확산이 가속화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불확실성까지 증대되고 있다. 정치에 있어서는 미국 대선, 파리 테러 등 국제 정세 갈등과 국가 간 불평등이 확산되고 있으며, 남북관계도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코로나19로 경제위기, 사회불평등과 갈등 심화로 사회 지속가능성에 대한 위기가 올 가능성도 있다. 다만 기술혁신에 다른 미래 사회의 등장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기회도 상존하고 있다.
<이하 원문 확인>
-
요 약 iii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1
Ⅱ. 외부환경(Position) 2
1. 사회 경제 트렌드 변화 2
2. 항공운송산업 변화 4
Ⅲ. 내부요인(Perspective) 6
1. 국제기구 전망 6
2. 우리나라 국제선 단기 항공수요 전망 9
Ⅳ. 전략요인(Ploy) 13
1. 국내외 정책동향 13
2. 주요 요인의 변화 17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19
참고문헌 20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