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22.09.19
- 저자
백승한,박보미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23 Page

-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공역 운영방식 개선을 통한 비행거리 단축 효과와 관련하여 다음의 사항을 검토하고자 함.
◦ 첫째, ICAO에서 국제 표준으로 제시한 항공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모델(CEM, CO2 Estimation Model)과 탄소중립 정책을 선도하는 유럽의 배출량 산정모델(AEM, Advanced emission model)을 국내 단축 항공로 이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식과 비교ㆍ검토함.
- 본 연구는 국제 표준과의 부합 여부를 검토하는 차원에서 개별 국가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사례보다는 ICAO, EUROCONTROL 등 공신력 있는 기관의 산정 모델을 중심으로 비교ㆍ검토를 수행함.
◦ 둘째, 현재 사용 중인 단축항공로 운영 성과 측정 방식과 우리나라 교통 분야 및 타 산업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 편익 산정 방식을 비교ㆍ검토하여, 단축항공로 운영에 따른 성과 측정 방식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마지막으로 현재 사용 중인 단축항공로 운영 성과 지표 이외의 추가적인 성과 지표를 발굴하여 제언하고자 함.
<이하 원문 확인>
-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2
Ⅱ. 항공부분 탄소 배출량 산정 모델 검토 3
1. ICAO의 탄소 배출량 추정 모델(CEM, CO2 Estimation Model) 3
2. EUROCONTROL의 고급 배출 모델(AEM, Advanced Emission Model) 6
3. 국가공역종합관리시스템(NAIMS)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9
4. 소결 및 시사점 11
Ⅲ. 단축항공로 성과 측정 방식 검토 12
1. 현행 단축항공로 성과 측정 방식 12
2. 온실가스 감축 효과 13
3. 항공유 소모량 감축 효과 18
4. 비행거리 및 비행시간 단축 효과 19
5. 소결 및 시사점 20
Ⅳ. 결론 및 정책 방향 제언 21
참고문헌 23
부록 24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