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업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22.12.31
- 저자
한재현,신해영,정수진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303 Page

-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른 항공 시장 위축으로 인한 항공 생태계 파악 및 실효성 있는 관련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항공산업에 대한 통계조사가 선결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항공산업의 특수성을 파악할 수 있는 분류체계의 정립을 통해 정책 이행 또는 통계조사 시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틀이 필요하다. 2022년에는 이를 위한 과정으로 항공산업 통계조사의 당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동의분류체계에 의한 항공산업 실태조사를 승인통계로 진행하여, 통계법에 근거한 조사가 이행된다.
국내 항공산업은 그동안 종사자 감소 및 산업 이탈과 사업체 규모 축소 및 휴폐업 등 많은 변화를 겪었다. 따라서 국내 항공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 수에 대한 조사에 더하여 항공 관련 사업체에 대한 조사를 통한 면밀한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산업 실태조사” 승인통계 등록에 기초한 항공 및 연관 사업체 조사 시행, 지속적인 항공산업 실태조사를 위한 항공산업에 대한 정의 및 항공산업 관련 통계조사의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한 연구 등이다.
<이하 원문 참조>
-
요약 I 제1장 서론 3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제3절 연차별 연구사업 성과 7 제4절 2022년도 사업의 차별성 11 제2장 국내외 항공산업 현황 15 제1절 국내외 항공산업 변화 15 제2절 국내외 항공산업 정책 분석 26 제3절 정책적 시사점 44 제3장 「항공산업 실태조사」 승인통계 49 제1절 「항공산업 실태조사」 승인통계 개요 49 제2절 2022년 승인통계 추진 95 제4장 항공산업 통계 근거 확보방안 103 제1절 항공산업 개요 103 제2절 항공산업 통계 관련 근거 125 제5장 항공산업 실태조사 139 제1절 통계조사 방법론 139 제2절 실태조사 결과 147 제3절 항공산업 관련 설문조사 결과 208 제6장 결론 249 제1절 결론 249 제2절 정책적 제언 252 참고문헌 255 부 록 259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