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기본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page_top_research (1).jpg
녹색교통 이용 확대를 위한 통행자 행태변화 유도방안 연구
  • 발간일

    2011.11.30

  • 저자

    최진석,이주연,박은아,허경희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59 Page

#녹색교통 #통행자행태 #잠재계층 #유도방안
기본연구이미지

우리나라는 2020년까지 교통부문 온실가스를 BAU 대비 33~37% 가량 감축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와 같은 목표치를 달성하고자 여러 가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친환경 녹색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들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합니다. 또한 이러한 정책이 국민들의 실질적인 행태변화를 이끌어내야만 합니다. 지금까지 제안된 정책들은 버스 및 지하철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요금체계를 조정하거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만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해 왔습니다. 하이브리드 차량 등 그린카를 구입할 때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도 2년 이상 시행되고 있으나, 이용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내지는 못하였습니다.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요 대도시의 승용차 및 대중교통 분담률은 지난 10년 동안 일정한 수준에서 정체되어 있는 실정입니다. 최근 유류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였음에도 승용차 통행이 크게 줄어들지 않는 현상을 통해 가격 규제에만 국한된 정책들의 한계를 엿볼 수 있습니다. 저탄소 녹색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먼저 통행자의 특성 및 행태를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교통수단을 변경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해야 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통행자 행태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통해 통행시간과 비용 이외에 녹색교통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을 찾아내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요인을 반영하여 통행자 행태변화를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습니다. 연령, 성별, 소득 등 통행자 특성에 따라 계층별로 차별화된 맞춤형 정책도 함께 제안하였습니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신 연세대학교 정진혁 교수님과 녹색교통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 밖에도 유익한 자문을 아끼지 않으신 원내‧외 여러 자문위원께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다양한 정책방안들이 향후 녹색교통수단 이용을 활성화하고, 국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데 이바지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제3절 선행연구 고찰 및 본 연구의 차별성 / 7

제2장 녹색교통의 개념 및 국내 이용 현황 / 11
제1절 녹색교통의 개념 및 유형 / 11
제2절 국내 녹색교통 이용 현황 조사‧분석 / 17
제3절 조사‧분석의 시사점 / 49

제3장 녹색교통 이용 확대를 위한 정책사례 및 시사점 / 53
제1절 국내 정책사례 / 53
제2절 국외 정책사례 / 65
제3절 정책사례 비교‧분석 및 시사점 / 71

제4장 녹색교통 이용 확대를 위한 통행자 행태 분석 / 73
제1절 분석의 내용 및 방법 / 73
제2절 통행자 잠재계층 구분 및 성향 분석 / 75
제3절 잠재계층별 통행 특성 및 의식 분석 / 86

제5장 통행자 행태변화 유도방안 및 효과분석 / 93
제1절 소비자 선택과 통행자 선택 / 93
제2절 통행자 행태변화 유도방안 / 95
제3절 유도방안별 효과분석 및 우선순위 산정 / 102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 105
제1절 결론 / 105
제2절 제언 및 향후 연구과제 / 109

참고문헌 113

부 록 117

Abstract 123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철도교통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