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11.10.31
- 저자
김영국,한대호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77 Page

-
산업화와 더불어 형성된 현대도시는 도보통행(여행)자보다 자동차 소통 위주의 도시로 형성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도시는 화석연료 의존적 공간구조로 변모되었으며, 도시 내 대기질은 악화되었고,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공간의 구축은 상대적으로 계획의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되었습니다.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교통체계(Environmentally Sustainable Transportation System) 구축을 위해 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체계 정착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검토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상당수 정책은 이미 시행되고 있습니다. 보행통행은 모든 교통의 시발점이 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학교, 회사 및 쇼핑센터와 같은 통행 목적지까지 가기 위해서는 보행을 통해 정류장이나 역사(驛舍)에 우선 접근해야 하고 도착역에서 다시 최종 목적지까지 도보통행을 수반해야 합니다. 따라서 대중교통 이용의 활성화는 대중교통수단 결절점인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까지의 쾌적하고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이 선결되어야 하는 특성을 가집니다. 녹색성장과 기조가 일치하는 압축도시(Compact City)형 개발, 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대중교통 중심형 회랑(TOC, Transit Oriented Corridor) 등의 신개념 도시개발 방식에서는 보행자 전용지구 및 보행우선권역 등을 통해 개발지역 내 걷기 좋은 길을 구축함으로써 통행수요의 상당한 부분을 도보통행으로 흡수하고자 노력합니다. 주거지 인근에 위치한 근린상업시설, 학교, 도서관, 공공시설 등 주요 생활시설을 보행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불필요한 승용차 이용을 억제하는 것 또한 녹색성장 패러다임에 부응하는 좋은 정책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제주 올레의 성공과 더불어 최근 들어 걷기의 다양한 장점들이 알려지면서 걷기가 새로운 도시 삶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와 정부기관 등이 앞 다투어 제주 올레와 유사한 걷기여행 코스와 생활형 올레를 계획하고 실행에 옮기고 있습니다. 워킹슈즈, 트레킹슈즈 및 각종 걷기 보조용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걷기가 가져다주는 건강 및 심신의 안정감을 소개하는 책자도 여럿 출간되었습니다. New Urbanism, 지속가능한 발전, Smart Growth 등 새로운 계획 패러다임이 도래하고, 이러한 신개념의 계획은 보행자에게 편리한 통행로 구축을 도시계획의 필수적 요소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국내외에서 형성되고 있는 걷기의 일상화 및 보편화 등 새로운 사회문화적 흐름에 발맞추어 보행 활성화를 위한 도시형 올레 구축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건강한 도시 만들기, 주민복지 향상, 보행약자 배려,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등 살기 좋은 도시, 걷기에 편리한 가로, 도심의 경제적 재생 등 다양한 방면의 연구와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6
제2장 도시형 올레의 개념 및 사례 분석 / 8
제1절 도시형 올레의 개념 / 8
제2절 보행우선구역사업 시행 사례 / 18
제3절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사업 시행 사례 / 24
제4절 문화‧생태 탐방로 조성사업 시행 사례 / 28
제5절 해외 보행환경개선사업 사례 / 36
제3장 도시형 올레 관련 정책 분석 / 46
제1절 대중교통 우선 정책과 보행시설 개선 / 46
제2절 도시 준공공공간의 보행 활성화 / 51
제3절 지구교통관리지침에 관한 연구 / 53
제4절 지구 단위 계획의 교통 및 보행 관련 검토 / 55
제5절 해외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관련 정책 / 62
제4장 도시형 올레 구축 방향 / 66
제1절 대중교통 결절점 중심 도시형 올레 / 66
제2절 역사‧문화 중심 도시형 올레 / 71
제3절 자연환경 중심 도시형 올레 / 79
제5장 도시형 올레 구축 가이드라인 / 87
제1절 도시형 올레 구축 방향 / 87
제2절 역세권 주변 도시형 올레 / 91
제3절 지하철역사 및 버스정류장 연계 / 113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 119
제1절 결론 및 요약 / 119
제2절 정책 제언 / 121
참고문헌 123
부 록 127
Abstract 143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