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23.04.30
- 저자
김규옥,김영국,조선아,조아해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313 Page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전기차 전환이 경제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관련 정책을 마련하고, 전기차 전환에 따른 산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구성은 첫째, 전기차 전환의 정책과 전망을 살펴보았다. 둘째, 전기차 전환 및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현황을 파악하고 추진 방향을 살펴보았다. 셋째, 전기차 산업 생태계 전환의 영향과 일자리 분석을 살펴보고, 넷째, 전기차의 생산 및 보급 확대가 국민 경제적 고용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기차 전환과 산업 육성을 위한 추진정책과 과제를 발굴하였다.
<이하 원문 참조>
-
요약 i
제1장서론 3
제1절 연구의 개요 3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내용 5
제3절 선행연구 고찰 및 본 연구의 차별성 7
제2장전기차 산업 생태계 전환 11
제1절 자동차산업 생태계 변화 11
제2절 전기차 보급 현황 23
제3절 전기차 전환의 비즈니스 사례 분석 32
제3장전기차 전환 및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41
제1절 국내외 전기차 전환 정책 41
제2절 전기차 산업 육성을 위한 국내 주요 정책 58
제3절 자동차 생애주기별 전기차 보급 확산의 문제점 분석 69
제4절 기술적, 정책적 제약 요인 극복을 위한 추진 사례 분석 79
제4장전기차 산업 생태계 전환의 영향과 일자리 분석 83
제1절 자동차 분야의 고용 현황 분석 83
제2절 전기차 확대에 따른 일자리 및 고용 구조의 변화 분석 94
제3절 자동차 서비스업 분야의 고용 현황 분석 103
제4절 전기차 고용의 변화 전망 및 개선 방향 112
제5절 전기차 산업 전환에 따른 인력 불균형과 일자리 부족 115
제5장전기차의 생산 및 보급 확대가 국민 경제적 고용에 미칠 영향 분석 및 예측 129
제1절 전기차 확산의 경제적 영향에 관한 선행 연구 129
제2절 전기차 산업 분류체계 현황 및 개선 사항 145
제3절 전기차 부품의 분류 및 산업 통계 분석 159
제4절 산업연관표를 활용한 국민 경제적 영향과 고용 효과 분석 174
제6장전기차 전환과 산업 육성을 위한 추진 정책 마련 197
제1절 전문가 AHP 조사 197
제2절 기업체 대상 설문조사 210
제3절 정책 방안 마련 220
제7장결론 및 정책 제언 227
제1절 결론 227
제2절 정책 제언 230
참고문헌 233
부록 241
Abstract 279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