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15.11.30
- 저자
박경아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39 Page

-
■ 연구 목적 ◦ 대중교통은 대도시권이 광역화되면서 나타나는 교통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수단임. 하지만, 광역권에 포함되는 각 지자체별 의견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광역대중교통정책에 대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방법론에서 의하여 다양한 개선대안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함 ◦ 본 연구는 광역대중교통의 개선대안 평가방법론으로 이용자의 행태변화에 기초한 교통정책 의사결정과정을 이중구조모형(bi-level modelling)의 형태로 모사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함 ■ 주요 연구 결과 ◦ 대중교통체계 평가는 대중교통네트워크 설계 문제(public transport network design problem)의 측면에서 바라본 평가방법론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환승센터 입지와 이에 따른 연계노선의 조정 및 신설을 분석 대상으로 함. ◦ 상위레벨(upper level)에서는 환승센터 입지 및 연계노선 개선 최적안 선정을 위한 목적함수를 정의하고, 하위레벨(lower level)에서는 대중교통 수요분석모형을 이용하여 변경된 대중교통에서의 이용자의 행태를 예측함. ◦ 상위레벨의 목적함수(objective function)는 총사회적 비용 최소화로 통행비용, 환승비용, 운임비용, 건설비용을 항목으로 구성하였고, 하위레벨에서 수요분석을 위한 모형으로 확률적 균형 통행배정기법(stochastic equilibrium assignment)을 적용함. 모형의 해법 알고리즘(solution algorithm)으로서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적용함 ◦ 개발된 모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1개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3개 경로에 각각 대중교통 환승센터가 입지하고 이에 따른 연계노선이 2개가 생성되었을 경우를 가정한 가상네트워크를 설정하여 적용한 결과, 총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환승센터의 입지 대안을 최적 대안을 선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음 ◦ 실제 사례분석으로서 서울 강남대로를 경유하는 광역버스의 환승센터 입지 및 연계노선 변경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양재시민의 숲역 회차 환승정류장 설치, 판교역 환승센터 설치, 광역버스노선의 강남지역 분산방안 등 3개의 검토대안을 설정하여 평가한 결과, 총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대안은 광역버스노선의 분산방안으로 도출되었음. ■ 정책 제언 ◦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방법을 활용할 경우, 비용-편익방법(cost-benefic analysis)에 의한 경제적 타당성평가에 의존하는 교통정책 의사결정과정을 다양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요약 xiii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제3절 주요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 7
제2장 이중구조모형과 대중교통 개선대안 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 11
제1절 이중구조모형의 이론적 배경과 교통부문 활용사례 / 11
제2절 대중교통 개선대안 평가관련 사례 / 16
제3장 이중구조모형 기반 대중교통 개선대안 평가모형 개발 20
제1절 평가모형 개발 기본방향 / 20
제2절 평가모형의 구조 정의 / 25
제3절 해법 알고리즘(Solution algorithm) 개발 및 평가 / 30
제4장 평가모형 적용사례 : 강남대로 운행 광역버스노선 대상 37
제1절 수도권 광역대중교통 운영현황 분석 / 37
제2절 수도권 남부지역 광역대중교통 이용실태 분석 : 강남대로 운행 광역버스노선의 교통카드 이용실적 ․ BIS자료 이용 / 47
제3절 수도권 남부지역 광역대중교통체계 문제점 및 개편과 관련 검토 대안 / 74
제4절 수도권 광역대중교통체계 개선대안 설정 / 80
제5절 모형 적용결과 / 83
제5장 결론 및 향후 과제 110
제1절 결론 및 연구성과 / 110
제2절 정책 제언 / 112
참고문헌 114
부 록 117
Abstract 137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