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기본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page_top_research (1).jpg
모빌리티 빅데이터 기반의 국민 사회·경제활동 분석
  • 발간일

    2020.11.30

  • 저자

    김주영,장동익,김동호,김관용,추상호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95 Page

#모빌리티 빅데이터; 교통빅데이터 활용; 모빌리티 분석
기본연구이미지

1.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모바일 기지국 데이터, 차량 GPS 데이터, 대중교통카드 데이터 등 교통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민의 계층(연령대별, 지역별, 통행권별)별 모빌리티를 분석함으로써 국민의 사회·경제학적 현황 및 도시구조의 효율성을 평가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2. 모빌리티 빅데이터의 현황 및 구축방법론

주요 모빌리티 빅데이터로는 사람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는 모바일 기지국 데이터, 차량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는 차량 GPS 데이터, 대중교통 이용자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는 대중교통카드 데이터, 소비행태를 파악할 수 있는 신용카드 데이터 등이 있다. 모바일 기지국 데이터는 통신사에서 구축하고 있는 기지국 위치정보 형태의 데이터이며, 한국교통연구원은 통신사의 원천자료를 브로노이기법을 이용하여 기지국셀 단위의 위치정보로 변환한 후, 개인별 통행사슬DB를 구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더불어, 매일매일의 통행패턴을 분석하여 주거지, 직장유무, 직장위치, 통행목적 등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통근시간, 직주거리 등 다양한 지표를 양산할 수 있다. 차량 GPS 데이터는 내비게이션 및 운행기록계정보(DTG) 등과 같이 초 단위로 차량의 위치를 수집하는 데이터이며,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이동경로, 도로 구간별 통행속도 및 교통량, 교차로별 대기행렬길이, 통행시간 등 다양한 지표를 생산할 수 있다. 대중교통카드 데이터는 대중교통 이용자가 대중교통을 승・하차할 때 태그하는 정보로 승하차 정류장, 차량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이를 이용하여 차량 내 혼잡정보, 정류장별 승하차정보, 환승정보 등 다양한 지표가 생산될 수 있다.



<이하 원문 확인>


요 약 xiii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주요 내용 / 4
제3절 연구의 수행방법 / 6
제4절 선행연구 고찰 및 본 연구의 차별성 / 8

제2장 모빌리티 빅데이터 일반 현황 10
제1절 모빌리티의 개념 및 모빌리티 빅데이터 현황 / 10
제2절 모빌리티 빅데이터 구축 현황 / 13
제3절 모빌리티 빅데이터 이용 및 분석 환경 / 25

제3장 모빌리티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사례조사 30
제1절 모빌리티 빅데이터 분석 국내사례 / 30
제2절 모빌리티 빅데이터 분석 국외사례 / 43
제3절 모빌리티 빅데이터 분석사례를 통한 시사점 / 55

제4장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이용한 사회·경제활동 분석 57
제1절 통근 모빌리티 분석 / 57
제2절 도시구조의 효율성 평가 / 74
제3절 도시경쟁력 평가 / 102
제4절 경기 선행지수 분석 / 113
제5절 생활영향권 분석 / 116
제6절 벽오지역 및 고령자 모빌리티 상세분석 / 124
제7절 사회경제활동 분석 종합 / 130

제5장 모빌리티 빅데이터의 정책 활용방안 133
제1절 모빌리티 빅데이터 구축·공유 정책 추진 / 133
제2절 국민 모빌리티 모니터링 및 혁신적 교통운영기술 개발 / 147
제3절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데이터경제 활성화 / 152
제4절 빅데이터 기반 생활통계 확대 구축 및 정책 활용 / 156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58
제1절 결론 / 158
제2절 정책제언 / 160

참고문헌 163

Abstract 167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국가교통DB센터 센터장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