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2024년 주요연구ㆍ사업

당해연도에 수행중인 주요 연구ㆍ사업의 기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8484662F81_1688976531202_20.jpg
주요 사업 2024 빅데이터 기반 국가 이동성 진단 및 정책 지원사업
  • 연구기간

    2024.01.01 ~ 2024.12.31

  • 연구 책임자

    조범철,조종석,천승훈,장동익

#모빌리티 빅데이터 #진단지표 #교통빅데이터 #대중교통 #SOC 투자 #Mobility Bigdata #diagnostic index #Transport Big Data #Public transport system #SOC investment
28.jpg
1. 연구책임자
- 조범철 선임연구위원, 조종석 연구위원, 천승훈 연구위원, 장동익 부연구위원

2.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2-1. 다양한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책지표의 제공의 필요성 강조
⊙교통부문에서도 코로나19의 발생 이후 통행량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책 대응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모빌리티 자료를 수집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정책 집행의 결과를 시의성 있게 살펴보고자하는 요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음   
⊙통계작성 기관에서 작성되고 있는 대부분의 교통관련 보고통계는 행정조사 또는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모빌리티 동향을 초기에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함
⊙최근 몇 년간 원내에서도 다양한 원내 과제나 수탁과제에서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정책적 지표를 발굴하고 제공하려는 노력하였음에도 각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다양한 정책적 현황 지표들이 과제에 한정되어 분석되고 이후 계속 연구가 진행되지 않음에 따라 일회성 분석으로 끝나버린 경우가 대부분임
2-2.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이용한 다양한 지표들은 지표를 통행 현황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제사회 지표와 결합하여 지역의 경제상황을 한눈에 보여주는 역할을 하는 지역 경제활동 지표로 제공 가능하며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경제 추이를 추적하는 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경제 상황을 예측하는 바로미터로 사용 가능함
⊙다양한 모빌리티 자료를 이종 결합하여 이들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속보성 사회경제 지표를 개발하고, 더 나아가 국가와 지역 현황 모니터링을 통해 시의적절한 정책 지원 방안 필요함
2-3. KTDB 분석의 활용성과 신뢰도를 고도화하기 위한 모형 연구가 필요함
⊙최근 모빌리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래 모빌리티 체계에 대비한 DB 구축과 활용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음
2-4. 기존 지자체 지원 사업과 KTDB와의 유기적인 체계 마련
⊙기존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교통 빅데이터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지원사업」을 데이터 기반의 국가 이동성 진단 체계로 통합하여 KTDB와의 유기적 체계를 강화하고 데이터 생태계 조성 지원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지자체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원활하게 구득하고 지자체 맞춤형 정책지원 모델 발굴 추진하는 등 KTDB의 활용성을 강화
 
3. 연구 목적
3-1. KTDB에서 수집 가공하고 있는 다양한 교통 빅데이터를 분석·가공하여 이를 활용대규모 사회적 이유와 경제상황 변화를 초기에 식별하고 대응하기 위해 교통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빌리티를 대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지표 개발과 이를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주목적
⊙또한 기존의 물가, 고용, 생산, 소비 등 지역 경제활동 분성을 위해 수집된 교통 빅데이터를 이용한 지역 경제활동을 대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지표 시계열 제공하여 KTDB의 시의성과 활용성을 강화해 나가고자 함 
⊙이를 활용하여 기존의 투자 정책을 진단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3-2. 최근 모빌리티 관련 연구기관에 작성한 다양한 모빌리티 빅데이터 이용 현황지표의 정리
⊙각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작성하고 지속적으로 생산이 가능하거나 통계 작성 유지가 필요한지 검토 
⊙모빌리티 부문의 유용한 통행량, 통행시간, 혼잡과 더불어 이와 함께 연관분석이 가능한 경제활동 지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분기별 모빌리티 레포트 제공
3-3. 데이터 기반의 국가 이동성 진단 체계를 구축하여 지자체의 특성과 여건 분석에 기반한 효과적인 교통분석 표준모델 설계 및 확산 
⊙지자체 수요조사 기반 교통분야 핵심서비스 선정하고, 단계적으로 교통분석 표준모델 설계를 통해 다양한 지자체로 확산시키 위한 전략 수립

4. 주요 연구내용
4-1. 시의성 있는 주요 모빌리티 진단 지표 제공
⊙시의성있는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구입 또는 제공받아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른 모빌리티 변화를 분석하여 제공
⊙광역버스 입석 금지에 따른 광역버스 혼잡도 변화나, 정류장 대기인원 등의 변화등 다양한 정책적 변화를 분기별로 정리하여 영향을 분석

4-2. 기본의 모빌리티 빅데이터 활용 지표의 진단 및 활용가능성 검토
⊙사회적 환경 변화와 기본의 보고통계나 조사 기반 기본 모빌리티 지표의 한계점 제시
⊙시의성이 확보된 모빌리티 모니터링 필요성 제시
⊙공표되고 있는 통계지표와 비교·검증을 통해 산출된 지역 경제활동 지표의 활용 가능성 진단

4-3. KTDB의 활용성과 신뢰성 강화를 위한 모빌리티 빅데이터 활용 분석 및 홍보, 분석 고도화 모델 연구
⊙KTDB에서 수집하고 있는 모빌리티  빅데이터 기반의 국가 이동성 진단 및 정책 분석

4-4. 시의성 있는 모빌리티 지표 제공을 위한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외 연구사례 분석
⊙사회 경제활동과 교통간의 관계 정의
⊙교통 빅데이터 기반 사회경제 활동 모니터링 의의와 시사점 제시

4-5. 민간과 연구원, 정부의 데이터 연계성 강화를 위한 민연 빅데이터 모빌리터 포럼 구성 및 지자체 지원
⊙데이터 지원 서비스 : View-T에 기 구축된 데이터 및 지표 제공
⊙도로망 성능평가 분석 : 전국 시도별 도로망 성능평가 DB 구축
⊙모빌리티 빅데이터 기반 교통분석 표준모델 설계
⊙지자체 지원사업 컨설팅
 
5. 연구 추진방법
⊙(문헌고찰) 기공표되고 있는 지역경제활동 지표 정의 및 현황 진단,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회경제 지표 연구 사례 분석 검토
⊙(데이터 활용 방안)  모바일 기지국 데이터, 내비게이션 이동궤적, 대중교통카드 자료 뿐만 아니라 신용카드 자료 등 사람, 차량, 대중교통 등 다양한 주체의 모빌리티에 대해 전수분석에 준하는 빅데이터 활용
⊙ (데이터 분석 방안) 다양한 교통 빅데이터를 융합·연계 분석하여 모빌리티 지표를 개발하고, 분석을 통해 모빌리티 현황 진단 및 교통 부문 개선방안 도출

6. 기대효과
6-1. 시의성 있는 지표의 제공으로 정책적 변화에 따른 진단 등 정책적 효과 기대

⊙수시로 발생되는 사회적 경제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 마련
⊙최근 모빌리티 변화 등 기초적인 통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올바른 교통 정책 방향 제시
6-2. 데이터 기반의 국가 이동성 진단 및 정책 분석 체계 마련

7. 연구기간
- 2024.1.1~2024.12.31


#모빌리티 빅데이터
#진단지표
#교통빅데이터
#대중교통
#SOC 투자
#Mobility Bigdata
#diagnostic index
#Transport Big Data
#Public transport system
#SOC investment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교통빅데이터연구본부 본부장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