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page_top_research (1).jpg
교통부문별 POST코로나19 대응전략 연구(3) -통행행태 변화 분석과 정책 대응-
  • 발간일

    2021.04.30

  • 저자

    장동익,조종석,최정민,원민수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229 Page

#코로나19 #모빌리티 변화 #통행량 변화 #통행행태 분석
표지_교통부문별 POST코로나19 대응전략 연구(3).PNG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코로나19의 전국적인 확산의 영향으로 교통부문의 이동성 지표인 수송실적과 교통량이 감소하고 있다. 이는 비단 장거리 통행인 지역 간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단거리인 지역 내 통행량 또한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평시와는 다른 모빌리티 이동 행태들이 나타나고 있다. 정부의 지속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과 이에 따른 감염확산 저지하고자 직장 내 밀집도 완화를 위한 재택근무가 확산됨에 따라 버스, 철도, 항공, 자가용 등 일상생활에 이용되는 모든 수단에서 통행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중교통 수송실적 또한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다. 조종석 외(2021)에 따르면 고속도로 2020년 전체 구간 교통량은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전년대비 약 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 발생 초기인 2월에는 전년 연평균 대비 약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 간 대중교통인 철도의 2020년 수송실적은 전년 대비 약 4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는 전년대비 각각 약 47.0%와 5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선의 항공 이용객의 통행량은 전년 연평균 대비 약 23.8% 감소하였고 국제선 항공의 경우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약 84.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원문 확인>


요 약 xv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제3절 선행연구 고찰 및 본 연구의 차별성 5

제2장 코로나19에 따른 해외 통행행태 및 모빌리티 검토 7
제1절 코로나19의 현황 7
제2절 주요 국가별 코로나19에 따른 모빌리티 변화 23
제3절 주요 국가별 코로나19에 따른 교통정책 방향 및 전망 28

제3장 코로나19에 따른 국내 통행행태 및 모빌리티 변화 분석 33
제1절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교통정책 및 모빌리티 변화 분석 33
제2절 코로나19에 따른 교통수단별 현황과 특성 44
제3절 코로나19에 따른 통행행태 변화 분석 66

제4장 포스트 코로나 통행행태 변화 전망 75
제1절 코로나19의 교통환경변화 분석 75
제2절 코로나19에 따른 통행행태 변화 분석 (RP) 81
제3절 포스트 코로나 통행행태 변화 전망 (SP) 115
제4절 포스트 코로나 통행행태 변화 전망 종합 166

제5장 포스트 코로나 대응 교통정책 수립 169
제1절 포스트 코로나 대응 교통정책 방향 169
제2절 포스트 코로나 대응 세부교통정책 발굴 175
제3절 포스트 코로나 시나리오에 따른 대응교통정책 실행 방안 179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83
제1절 결론 183
제2절 정책제언 185

참고문헌 189

Abstract 197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미래전망∙모빌리티분석팀 팀장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