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한국교통연구원

회원가입
검색
Korea transport institute
> 발간자료 > 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인쇄
교통부문별 POST코로나19 대응전략 연구(3) -통행행태 변화 분석과 정책 대응-

교통부문별 POST코로나19 대응전략 연구(3) -통행행태 변화 분석과 정책 대응-

저자
장동익,조종석,최정민,원민수
발간일자
2021-04-30
발행기관
한국교통연구원
언어/페이지수
국문 / 229 Page(s)
키워드
코로나19, 모빌리티 변화, 통행량 변화, 통행행태 분석
가격
\12,000 구매
다운로드
연구-MP-21-02_교통부문별 POST코로나19 대응전략 연구(3).pdf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코로나19의 전국적인 확산의 영향으로 교통부문의 이동성 지표인 수송실적과 교통량이 감소하고 있다. 이는 비단 장거리 통행인 지역 간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단거리인 지역 내 통행량 또한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평시와는 다른 모빌리티 이동 행태들이 나타나고 있다. 정부의 지속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과 이에 따른 감염확산 저지하고자 직장 내 밀집도 완화를 위한 재택근무가 확산됨에 따라 버스, 철도, 항공, 자가용 등 일상생활에 이용되는 모든 수단에서 통행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중교통 수송실적 또한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다. 조종석 외(2021)에 따르면 고속도로 2020년 전체 구간 교통량은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전년대비 약 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 발생 초기인 2월에는 전년 연평균 대비 약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 간 대중교통인 철도의 2020년 수송실적은 전년 대비 약 4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는 전년대비 각각 약 47.0%와 5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선의 항공 이용객의 통행량은 전년 연평균 대비 약 23.8% 감소하였고 국제선 항공의 경우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약 84.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원문 확인>


개인정보 이용동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하셔야 합니다.
확인
닫기

SNS인증

본인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 -
인증번호 발송 취소
닫기

SNS인증

고객님의 휴대폰으로 인증번호를 전송하였습니다.
수신하신 인증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
※ SMS 인증번호가 수신이 안되시나요?
휴대폰의 스팸설정여부 및 스팸편지함을 확인해 주세요.
착신관련 서비스를 사용중인 경우 SMS 인증문자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인증번호 발송 취소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