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수시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page_top_research (1).jpg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 발간일

    2023.03.24

  • 저자

    임서현,강찬모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9 Page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이슈페이퍼-23-03.jpg

기존 운송시장 업체의 영세성 지속, 저임금 구조, 운수종사자 인력수급 등 운송산업 여건이 악악화하고 있고 이동성 극대화에 대한 이용자 니즈가 높아짐에 따라 서비스의 변화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기존 서비스 운영 경쟁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 모빌리티 관련 산업에서는 자동차의 전기화, 자율주행 플랫폼화 등 산업융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UAM 등 새로운 교통수단이 등장하고 있다. 축적된 이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 고도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수요응답형 모빌리티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인구 감소 및 고령화, 농어촌·벽지 버스 운영 채산성이 낮아지고 , 심야 승차난, 신도시 대중교통 부족으로 인한 대중교통 서비스 편차 등 다양한 모빌리티 관련 이슈에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하 원문 참조>

요약 ⅲ

Ⅰ. 연구의 배경 1

Ⅱ. 현황 및 문제점 3
1. 수요응답형 모빌리티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가 3
2. 국내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도입현황 4
3.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확대 시 법 제도적 제약사항 5
4.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도입 전·후 운영 효과평가 체계 미비 6

Ⅲ. 추진 방향 및 대책 10

참고문헌 14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광역·도시교통연구본부 연구위원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