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12.10.31
- 저자
김찬성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81 Page

-
우리나라는 최근 10년 동안 교통 분야에서 자동차 보유대수의 급격한 증가, 대중교통체계의 변화, 고속철도의 개통, 인천국제공항의 위상 강화 등 중요한 변화를 겪어왔습니다. 교통시설의 변화는 다른 국가와 비교할 때 그 속도가 매우 빠르며, 지금도 교통부문의 변화가 계속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교통부문의 변화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통행행태에도 영향을 미치어 지난 10년 동안 우리나라 국민의 통행행태도 많이 변화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를 종합적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의 교통부문의 변화를 가구통행실태조사 등 다양한 실증자료를 활용하여 거시적 관점에서 조망하고, 우리나라 국민들의 10년 동안 통행변화를 동태적으로 분석하여 다양한 통행 현상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였습니다. 통행행태의 변화 중 자동차 보유와 이용의 변화, 도시민들의 출퇴근 현황 변화, 대중교통이용 변화, 비동력 교통수단 이용 변화, 통학 통행 변화, 지역간 통행 변화, 주말 통행 변화, 고령층 통행 변화 등 주요한 8가지 변화를 중심으로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와 연계되는 교통정책적 활용방안을 제안하였습니다. 과거 10년간의 실증분석결과 우리나라의 향후 10년의 주요 변화는 입지, 인구구조, 승용차 보유대수, 소득, 시간이용, 빠른 대중교통수단 이용 등의 변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특히 고령화, 1인 가구의 증가, 여가활동의 증가 등에 대한 교통대책 등은 새롭게 필요합니다. 지난 10년간 교통부문의 변화를 바탕으로 미래를 전망하며, 보다 발전된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실증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의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들에게는 생활의 일부인 교통실태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계기가 되고, 연구자들에게는 교통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또한 통행행태 실증분석결과와 교통정책적 시사점 등은 향후 정부차원에서의 교통정책 수립 등에 적극 활용되기를 바랍니다.
-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 3
제3절 주요 선행연구결과 및 차별성 / 4
제2장 통행행태 관련 문헌연구 / 6
제1절 개요 / 6
제2절 도시공간구조와 통행행태 / 7
제3절 Built Environment, 개인성향과 통행행태 / 13
제4절 가구특성, 개인특성, 국가적 특성과 통행행태 / 17
제5절 외생적인 요인과 통행행태 / 29
제6절 통근 통행 중심 교통정책 시사점 발굴 / 32
제3장 분석에 사용된 자료 및 분석과정 / 40
제1절 분석에 사용된 자료의 특성 / 40
제2절 분석과정 / 44
제4장 최근 10년 통행행태 분석결과 / 46
제1절 승용차 보유와 이용의 변화 / 46
제2절 도시민들의 출퇴근 패턴변화 / 62
제3절 대중교통이용에의 변화 / 75
제4절 비동력 교통수단 이용의 변화 / 80
제5절 통학통행의 변화 / 84
제6절 지역간 통행의 변화 / 89
제7절 주말 통행의 변화 / 97
제8절 고령층 통행의 변화 / 101
제5장 교통정책의 활용방안 / 107
제1절 교통정책의 시사점 도출 / 107
제2절 교통정책의 활용방안 / 111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 128
제1절 결론 / 128
제2절 정책 제언 / 129
참고문헌 / 131
Abstract / 139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