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12.10.31
- 저자
성낙문,김태형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327 Page

-
최근 우리나라는 다문화‧고령화 사회로의 급격한 변화가 진행 중에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사회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매년 국내 체류 외국인과의 국제결혼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2년 3월 기준으로 국내 체류 외국인은 약 141만 명에 이르고, 이중 등록 외국인은 약 97만 명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고령화 속도도 다른 나라에 비해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 사회’로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2000년에 이미 65세 이상의 인구가 11%(545만 명)를 넘어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바 있고, 2017년에는 고령인구가 유소년 인구를 초과하여 2030년에는 유소년인구의 2배, 2060년에는 4배까지 늘어날 전망입니다. 따라서 미래사회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에 대비한 도로교통 부문의 관련 연구 및 신 도로 교통정책 개발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다문화 사회가 공존하는 행복한 교통환경 조성을 위하여 다문화 사회 구성원의 교통불편 최소화, 교통안전 향상, 교통복지 제고를 위한 새로운 정책 방안 및 추진 과제 제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이에 대비하기 위한 도로교통 관련 연구 및 정책개발이 필요하고, 고령이용자의 신체 및 판단 특성 등에 부합하는 도로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제시가 필요한 실정입니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 특별히 다문화‧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도로 교통정책을 개발함에 목적이 있습니다. 다문화‧고령화 사회 관련 지표 및 주요 특성, 국내외 정책 사례 분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통행특성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한 도로 교통정책 방안 개발과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 구체적인 추진과제 및 추진방안을 제시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제시된 추진과제 및 추진방안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관련 계획 및 법‧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습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결과가 도로교통 분야에서 미래사회 인구구조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데 기여하고 개별 과제 및 정책이 추진되기를 기대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 가지로 조언을 해 주신 원‧내외 자문위원 및 심의위원님께 연구진을 대신하여 감사드리며, 연구를 수행하면서 노고를 아끼지 않은 연구진에게도 감사를 드립니다.
-
PART I. 다문화 사회 중심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제3절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 5
제2장 미래사회 인구구조 변화의 특성 및 현황 / 7
제1절 다문화 사회 변화의 특성 및 현황 분석 / 7
제2절 다문화 사회 구성원의 실태 및 현황 / 13
제3장 다문화 사회 구성원 통행특성 조사‧분석 / 21
제1절 다문화 사회 구성원 통행특성 조사 / 21
제2절 다문화 사회 구성원 통행특성 분석 결과 및 시사점 / 57
제4장 다문화 관련 국내외 정책 및 사례 분석 / 61
제1절 국내 다문화 정책 및 사례 분석 / 61
제2절 국외 다문화 정책 및 사례 분석 / 70
제3절 다문화 정책 및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 83
제5장 다문화 사회에 대비한 도로 교통정책 개발 / 84
제1절 다문화 사회에 대비한 도로 교통정책 비전‧목표 / 84
제2절 다문화 사회에 부응하는 도로 교통정책 방안 개발 / 86
제3절 다문화 사회에 대비한 도로 교통정책 추진전략 / 118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 121
제1절 결론 / 121
제2절 정책 제언 / 123
PART II. 고령화 사회 중심
제1장 서론 / 12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2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28
제3절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 131
제2장 미래사회 인구구조 변화의 특성 및 현황 / 133
제1절 고령자 및 고령화 사회 정의 / 133
제2절 국내 고령화 사회 및 교통여건 변화 관련 지표 분석 / 135
제3장 고령화 사회 구성원 통행특성 조사 및 분석 / 157
제1절 설문조사 개요 / 157
제2절 설문조사 결과 분석 / 161
제4장 고령화 관련 국내외 정책 및 사례 분석 / 184
제1절 국내 고령화 관련 정책 및 사례분석 / 184
제2절 국외 고령화 관련 정책 및 사례분석 / 188
제5장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도로 교통정책 개발 / 194
제1절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도로 교통정책 개발 기본방향 / 194
제2절 지역별 교통 측면의 고령 사회 특성지표 조사 분석 / 196
제3절 교통고령지수 개발 / 203
제4절 고령 사회를 위한 도로 교통정책 개발 / 213
제5절 고령 사회를 대비한 도로 교통정책 추진전략 수립 / 228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 231
제1절 결론 / 231
제2절 정책 제언 / 233
참고문헌 / 235
부 록 / 239
Abstract / 277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