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page_top_news.jpg](/upload/userdata/USER_MENU/35/77FBD3416A_1688033418420_35.jpg)
알림
KOTI 교통연구원이달의 주요행사
한국판 뉴딜 경청·공감 강원 대토론
본 행사는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준수하기 위하여 온·오프라인으로 연계하여 진행되었으며, 1일차인 6월 22일(화)에는 조대엽 정책기획위원장의 개회사에 이어 보건복지부 차관의 특별강연과 1세션 추장민(정책기획위원지속가능사회분과 위원장) 좌장이 '한국판 뉴딜과 그린 에너지'를 주제로, 2세션 정성헌(한국판 뉴딜 국정자문단 공동단장) 좌장이 '한국판 뉴딜과 평화·생명경제'를 주제로, 2일차인 6월 23일(수)에는 3세션 이기원(한림대 교수) 좌장이 '한국판 뉴딜과 지역경제'를 주제로, 4세션 김동원(강원대 교수) 좌장이 '지역뉴딜의 정의로운 전환과 사회적 대화'를 주제로 하여 2일에 걸쳐 각 세션별로 분야별 산학관연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그동안 발제한 내용을 토대로 활발한 발표 및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모빌리티의 미래" 자율주행 및 (스마트) 인프라 원탁회의 개최
KAS 토마스 요시무라 주재 대표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한국교통연구원 오재학 원장, 김영호 광역교통연구본부장, 강경표 자율협력주행연구센터장, KIT Christoph Stiller 교수, Dr. Thomas Otto, Dr. IIja Radusch, 한국과학 기술원 여화수 교수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손준우 박사가 모여 자율주행 기술의 고도화에 따른 도로 시설물, 인프라 연계와 관련하여 문제점 및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토의하였다.
코로나19의 교통물류부문 충격과 포용적 회복 정책 방안 토론회
토론회 개회를 알리는 본 원 오재학 원장의 개회사와 대한교통학회 이선하 회장의 축사에 이어, 코로나로 인한 국민통행행태 변화와 전망(한국교통연구원 장동익 부연구위원), 여객운송산업 충격과 대응방안(한국교통연구원 임서현 운송산업·이동권연구팀장), 항공산업의 충격과 대응방안(한국교통연구원 송기한 항공교통연구본부장), 비대면 경제활동 지원 생활물류시스템 구축(한국교통연구원 서상범 우수 물류기업·스마트물류시설인증센터장), 코로나극복 교통산업 지원과 교통서비스 회복(국토교통부 교통정책총괄과 김성환 서기관)의 주제별 발표, 한국교통연구원 예충열 국정과제연구단장을 좌장으로 하여 전국 버스연합회 황병태 상무, CJ대한통운 차동호 고문, 대한항공 이신 부장, 한국교통연구원 신희철 4차산업혁명교통연구본부장, 동아일보 서형석 기자, 국토교통부 교통정책총괄과 박지홍 과장이 패널로 참석하여 발표된 내용으로 심도있는 토론을 펼쳤다.
문재인 정부의 교통안전 성과와 향후 과제 교통안전 세미나
오재학 한국교통연구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윤관석 국회의원과 조대엽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의 환영사, 정해구 경제인문사회 연구회 이사장의 축사, Manager of the Road Safety Program(OECD/ITF)의 Veronique Feypell의 "국제 비교를 통한 한국의 최근 교통사고 성과(안)" 한상진 한국교통연구원 센터장의 "현 정부 교통안전분야 국정 성과와 평가"를 주제로 발표한 내용으로 황기연 교수를 좌장으로 강성습 국토부 과장, 양우철 경찰청 과장 등 산학관연 전문 관계자들이 토론하는 내용이 유튜브를 통해 중계되었다.
제2차 지속가능 국가교통물류반전 기본계획 공청회
KOTI 2020년도 연구성과 연속세미나 1차: '사람중심의 교통체계 전환 및 교통 공공성 강화' 개최
한국교통연구원-한국도시계획가협회 업무협약 체결
기고 및 언론활동
[기고] 효율적인 간선 도로망 구축을 위한 고민
![[기고] 효율적인 간선 도로망 구축을 위한 고민](https://www.koti.re.kr/resources/kor/images/newsletter/202107/magazinimg01.jpg)
[기고] 보행자 안전을 위한 넛지
![[기고] 보행자 안전을 위한 넛지](https://www.koti.re.kr/resources/kor/images/newsletter/202107/magazinimg02.jpg)
2021기본연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개인형 이동수단 빅데이터 구축과 활용
- 연구목적
-
- 스마트 기기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해 개인형 이동 수단의 시설상태와 이용현황 모니터링에 필요한 자료 실시간-온라인-자동으로 수집 및 처리방안
- 개인형 이동수단의 이용 활성화와 안전제고를 위한 자료의 구축과 활용방안을 마련
- 스마트기기 센서를 이용해 개인형 교통수단 관련 빅데이터를 구축 방법 개발
- 교통기술 연구·개발 및 교통정책 관련 정보 수집·조사·분석
- 교통관련 기초자료 구축 및 핵심기술 개발
- 주요 연구내용
-
- 스마트기기 센서 자료와 위치 정보 특성 조사 분석
- 개인형 이동수단 시설 상태와 이용현황 모니터링 방법과 요구자료 정의
- 스마트기기 센서를 이용한 측정과 자료 구축방안 개발
- 요구자료별 자료 측정과 자료 처리방안 개발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개인형 이동수단 시설상태 및 이용현황 모니터링시스템 구축 및 활용방안 제시
- Case Study: 새로운 계획기준 적용 시 교통계획 비교 분석
- 이용자 중심의 통합형 모빌리티 사업면허체계 구현방안
보행·개인교통수단 활성화를 위한 도시부 도로 네트워크 설계
- 연구목적
-
- COVID19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도시교통체계의 변화를 정리하고 감염병을 예방하면서 일상적인 도시 내 통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로설계 및 네트워크 운영전략 제시
- 국가차원의 전염병 확산 예방을 위한 도로 네트워크 운영전략
- 교통·물류정책 및 기술 연구개발
- 주요 연구내용
-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교통수요 변화
- 개인교통수단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도로운영 사례
- 개인교통수단 활성화를 위한 도시부 도로 운영 및 설계
- 사례 연구
연구보고서 소개
도시교통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국민건강과 교통안전을 중심으로
자동차의 발명은 철도 수단을 대체하여 door-to-door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을 가져왔으나 교통사고에 의한 인명과 재산 손실, 대기오염에 의한 건강 악화 등 부영향 야기
자동차 중심 도시교통은 교통소통 악화, 도로교통사고 증가, 자동차가 배출하는 미세먼지 등 문제를 야기
선진국에서는 자동차 중심 도시교통체계를 사람 중심으로 전환(1970년대 네덜란드 Woonerf, 1990년대 Sustainable Development, 2000년대 Smart Growth,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Compact City)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후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룩하였고 국민들은 안전과 건강과 같은 삶의 질에 관심 그러나 도시의 교통정책은 여전히 자동차의 빠른 이동을 중시하는 경향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 중심, 안전과 건강 우선의 도시교통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논리적 토대를 개발하는 것
한국교통연구원에서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교통연구' 제28권 제3호에 게재할 논문을 공모합니다.
- 참여대상
- 관련 분야 전문가 및 대학원생
- 논문종류
- 학술논문, 정책논문 등
- 논문접수 마감
- 2021.7.30.(금)
- 논문접수 방법
- 담당자 이메일(likeaugust@koti.re.kr) 제출
(우)30147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과학인프라동(B)
TEL. 044-211-3114 FAX. 044-211-3222
Copyrightⓒ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한국교통연구원](https://www.koti.re.kr/resources/kor/images/newsletter/footLogo.png)
교통연구 동향 및 연구원 관력 소식을 카카오톡으로 수신하기 원하실 경우 클릭해주세요!
![공공누리 이미지](/res/img/img_nuri_4.jpg)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