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page_top_research (1).jpg
한국판 뉴딜 지원 사업(2)-항공교통데이터 오픈 플랫폼 구축 전략
  • 발간일

    2022.05.14

  • 저자

    윤석재,김준혁,박보미,이대겸,김지훈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79 Page

#항공교통 데이터 오픈 플랫폼 #데이터 공개 #항행안전시설 #항공보안법 #한국판 뉴딜
표지_연구-MP-22-03.JPG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극심한 경기침체 극복 및 구조적 대전환 대응이라는 목적으로, 정부는 ’20년 7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하였다.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 뉴딜, 그린뉴딜, 안전망 강화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는데, 디지털 뉴딜의 대표과제 중 하나인 “데이터 댐”의 주요 투자사업에는 “빅데이터 플랫폼 확대”, “공공데이터 14.2만 개 신속 개방” 등이 포함되어 있다. 현재까지는 데이터 센터 구축을 통한 자료 축적과 데이터 인프라 구축 등, 데이터 분야의 기반 조성을 중점으로 정책이 시행되어 왔으나, 이번 종합계획에서 공공데이터 개방 등의 세부 사업을 제시한 것으로 봤을 때, 연계·확산·활용의 측면으로 정책 방향이 전환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항공분야의 주요 특성 중 하나로, 선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활용도가 우수한 데이터(항공기 위치, 예정시각, 준비시각, 흐름관리 전략, 기상, 우선순위 등)가 생성되고 있으며, 내부 시스템 측면에서는 연계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항공분야는 도로 및 자동차 분야와 다르게, 관제를 통해 항공기가 운항하기 때문에, 항공기 위치정보 등 우수한 정보들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이하 원문 확인>

요 약 xiii

제1장 서론1
제1절 연구의 배경 1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범위 9
제3절 연구의 수행 방법 11

제2장 국내외 오픈 데이터 현황 및 활용실태 분석 13
제1절 국내 오픈 데이터 종류 및 활용 사례 13
제2절 국외 오픈 데이터 종류 및 활용 사례 30
제3절 시사점 45

제3장 이용가능 항공교통 데이터 및 활용 가능성 분석 49
제1절 개요 49
제2절 운항 및 여객 정보 50
제3절 공간, 공항, 공역 정보 90
제4절 안전 및 기상 정보 97
제5절 시사점 103

제4장 항공 데이터 오픈 플랫폼 구축 및 활용방안 109
제1절 오픈 플랫폼 체계 구축방안 109
제2절 정책적 활용방안 122
제3절 예상 신규 산업 및 신규 서비스 활용방안 127
제4절 시사점 130

제5장 결론 135
제1절 연구 결과 종합 및 연구의 한계 135
제2절 정책·법·제도 제언 143

참고문헌 153

Abstract 157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항공우주교통연구본부 부연구위원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