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23.04.30
- 저자
곽민정,백석현,이호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87 Page

-
기후위기에 따른 탄소중립 선언으로 우리나라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수송부문의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서 탄소중립 기본법, 탄소중립 시나리오, 2050 탄소중립 로드맵에서는 철도의 수송 분담률 향상과 철도화물의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철도는 온실가스 배출원단위가 도로의 4%에 불과한 친환경적인 수송 수단이며,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도로화물의 수송 억제를 위하여 탄소중립 시대에 그 역할이 중요해졌다. 그러나 철도의 화물 부문 수송 분담률은 지속해서 감소하는 추세이며, 시설, 운영 등 여러 측면에서 문제점을 보인다. 이에 따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철도화물의 활성화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때이다.
<이하 원문 참조>
-
요약 i
제1장서론 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제3절 선행연구 고찰 및 본 연구의 차별성 5
제2장탄소중립 시대 철도화물의 역할 9
제1절 탄소중립의 개념 및 배경 11
제2절 국내 탄소중립 정책 20
제3절 탄소중립 시대 철도화물의 필요성 24
제3장철도화물 현황 및 문제점 27
제1절 철도화물 네트워크와 시설 현황 29
제2절 철도화물 수송체계와 현황 분석 42
제3절 철도화물부문 산업 및 운영현황 분석 49
제4절 철도화물 문제점 진단 53
제4장철도화물 정책 진단 61
제1절 국내 철도화물 정책 검토 63
제2절 국내 철도화물 정책 성과와 반성 84
제3절 이용자 관점에서의 철도화물 정책 진단 105
제5장철도화물 활성화 전략 123
제1절 철도화물 활성화 전략 제안 125
제2절 철도화물 활성화에 따른 수송 목표치 산정 131
제6장결론 153
제1절 결론 및 정책제언 155
제2절 향후 연구과제 156
참고문헌 157
Abstract 161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