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통연구(제30권제3호)
01 도시교통수단별 교통비용 비교 연구 - 서울시를 대상으로 -,02 다차원 척도법을 활용한 개인형 이동장치 인식에 관한 연구,03 GTX-B노선의 예비타당성 통과요인 분석: 경제적 기준과 정치적 요인의 상호작용,04 자율주행차량 선박 자동하역지원시스템(AVAS) 도입을 고려한 자동차 선적시간 및 비용 시뮬레이션 분석 연구
2023.09.30연구 정기 간행물 교통연구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교통연구(제29권제3호)
01 불확실성을 고려한 교통투자시설 의사결정 방법론 연구 - ITS기반 인프라 구축사업 사례 중심,02 수소화물차 도입의 탄소중립 기여 가능성 분석 - 영업용 화물차를 중심으로,03 수출입 자율주행차 선박하역 지원시스템 도입을 위한 사회적 편익 분석,04 도시철도 운영기관 직원의 고령층 고객에 대한 이미지 분석
2022.09.30연구 정기 간행물 교통연구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북한 해운물류
❑ 북한의 주요 무역항은 동해의 청진, 라진, 선봉, 흥남, 원산과 서해의 남포, 송림, 해주 등 모두 8개의 무역항이 있으며, 총 항만시설 현황은 1990년대 초반의 하역능력과
2019.02.27연구 특화사업 동북아북한교통물류 동북아북한교통물류 정보 권역별 현황 북한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한중일러 육-해 복합운송“황금항로”성공적으로 시험운항 (中日韩俄跨国陆海联运“黄金航线”成功试航)
지린성 훈춘시 부시장 왕진위(王金玉)은 훈춘-니이가타 항선은 러시아가 러시아 경내에서의 통관, 창고저장, 하역, 환적 등의 수속을 담당하고, 중일 쌍방은 화물원 발굴을 책임진다고 밝혔다
2009.02.09연구 특화사업 동북아북한교통물류 기사 브리프 기사브리프 중국 -
항만
이러한 총체적인 문제는 곧바로 러시아 국적 선박의 감소 현상으로 나타났다. 1995년부터 러시아에 의해 통제되는 총 선박량이 감소했지만 러시아 국적선의 선박량은 보다 빠른 속도로 감소했다
2008.05.07연구 특화사업 동북아북한교통물류 동북아북한교통물류 정보 권역별 현황 러시아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