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대도시권 광역교통 정책지원 사업
> #광역교통br /> #빅데이터br /> #광역버스br /> #정책지원br /> #Metropolitan Areabr /> #Regional Travelbr /> #Big
2024.02.16연구 연구 보고서 2024년 주요연구ㆍ사업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2024 빅데이터 기반 국가 이동성 진단 및 정책 지원사업
2024.12.31 #모빌리티 빅데이터 #진단지표 #교통빅데이터 #대중교통 #SOC 투자 #Mobility Bigdata #diagnostic index #Transport Big
2024.02.14연구 연구 보고서 2024년 주요연구ㆍ사업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2024 국가모빌리티 대전환 지원사업
b>1. 연구책임자/b>br /> - 김영호 선임연구위원, 신희철 선임연구위원br /> br /> b>2.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br /> 2-1. 관련 정책현안 및 정부시책과의 부합성/b>br /> ⊙교통 분야에 다양한 첨단 기술이 융복합되면서 공급자 관점의 교통인프라 공급에서 수요자 중심의 이동성 (Mobility) 극대화를 중심으로 해외 선진국의 교통정책 방향이 전환되고 있으며, 미래 성장 장재력이 높은 모빌리티 산업의 주도권을 두고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br /> ⊙ 이와 같은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민간 전문가를 중심으로 운영된 모빌리티 혁신위원회를 통하여 수립된「모빌리티 혁신로드맵」을 발표하고, 모빌리티 시대 본격 개막과 모빌리티 혁신의 일상 구현을 실현하기 위하여 노력 중임br /> ⊙「모빌리티 혁신로드맵」은 과제1: 운전자가 필요 없는 완전자율주행시대 개막, 과제2: 교통체증 걱정 없는 항공모빌리티 구현, 과제3: 스마트 물류 모빌리티로 맞춤형 배송체계 구축, 과제4: 모빌리티 시대에 맞는 다양한 이동서비스 확산, 과제5: 모빌리티와 도시융합을 통한 미래도시 구현과 같이 5개 과제로 구성되어 있음br /> ⊙특히, 본 사업에서 주로 다루고자하는 육상 여객 교통분야의 주요 과제인 과제1, 과제4, 과제5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br /> - 과제1에서는 2027년 세계 최고수준의 완전자율주행 (Lv.4)을 상용화하여 차량내 업무 및 휴식문화공간 구축 등 자율주행 모빌리티를 국민 일상에서 구현하고 교통사고 예방 및 혼잡 예방 등 기존 유인 차량에 의하여 발생하였던 사회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예정임br /> - 과제4에서는 기존 교통서비스에 ICT기술과 플랫폼 기술 등을 융복합하여 다양한 모빌리티 수요를 획기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발굴하고 확산할 계획임. 특히 다양한 모빌리티 데이터 통합 관리와 민간 개방을 통해 민간 주도의 MaaS 활성화를 지원하고 공공주도의 선도 사업을 추진할 계획임br /> - 과제5에서는 도시 공간을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가 구현되고 모빌리티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혁신 거점으로 조성하고 기존 도시는 모빌리티 시대에 맞게 재설계하는 방향으로 추진 예정임. 공간 구조 재설계에 앞서 전국 단위 모빌리티 현황조사를 통해 전국의 모빌리티 현황을 상세히 파악하고 현황조사를 토대로 지역 모빌리티 개선 계획 및 개선 사업을 추진할 예정임br /> ⊙정부는 2022년 12월말에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등 모빌리티 부문 업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모빌리티총괄과, 자동차정책과, 자율주행정책과, 도심항공교통정책과, 자동차운영보험과와 같이 5개과로 구성된 모빌리티자동차국을 신설하였음br /> ⊙모빌리티자동차국은 현재까지 국토교통부내 각 부서가 개별적으로 추진해 온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전기수소차, 개인형 이동수단(PM) 등 미래형 모빌리티 정책들을 「모빌리티 혁신로드맵」에 기반하여 하나의 통합된 전략과 비전에 기반하여 추진할 예정임br /> ⊙모빌리티 자동차국은 모빌리티법, UAM법, PM법 제정을 통하여 모빌리티 전반에 대한 법제도의 기반을 갖추고, 모빌리티 특화도시, 자율주행시범운행지구 등 실증시범사업을 지원하는 등 모빌리티 혁신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임br /> ⊙모빌리티 혁신로드맵을 성공적으로 이행하여 국민의 이동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국민공감대를 형성하고 민관 상호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채널을 구축하여 새로운 모빌리티 사업 수행시 발생하는 한계와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도출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정책 대안과 법제도 개선 방안도출이 필요함br /> ⊙이와 함께 민간주도의 시장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제도 개선과 정부의 추진 전략을 도출하고 기술혁신과 파이낸싱을 제도화하는 등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종합적 접근 방안 마련이 필요함br /> ⊙특히, 모빌리티 혁신로드맵의 주요 추진 내용인 완전자율주행의 상용화, 민간주도 MaaS의 활성화, 전국단위 모빌리티 현황 조사를 위하여 선행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는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안전성 및 수용성 확보 방안, MaaS 실증 사업 추진시 한계점 및 극복 방안, 모빌리티 지수 도출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임 br /> br /> b>3. 연구 목적/b>br /> ⊙모빌리티 관련 국내외 우수 연구기관과 협동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핵심 기술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상용화 전략을 도출함br /> ⊙친환경 교통수단의 이용행태에 대한 분석 절차를 표준화하고 지역별 이용행태를 비교함br /> ⊙국내외 모빌리티 전환 관련 현황 분석과 미래 모빌리티 발전 전망 자료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전환 브리프를 발간함br /> ⊙한국과 독일의 모빌리티 전문가의 협동연구체계를 구축하고 한국과 독일의 모빌리티 전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영문 단행본을 발간함br /> br /> b>4. 주요 연구내용/b>br /> b>(1차년도)br /> 4-1. 모빌리티 전환 정의/b>br /> ⊙모빌리티와 교통과의 관계 규명br /> ⊙모빌리티와 교통의 법적 해석br /> ⊙교통정책 입안자 관점의 모빌리티 전환 br /> br /> b>4-2. 모빌리티 전환 추진 방향 설정/b>br /> ⊙모빌리티의 변화 형태 도출br /> ⊙이용자 인식 변화와 사회경제적 변화에 기반한 모빌리티 메가트렌드 분석br /> ⊙모빌리티 관련 사회적 가치 도출br /> ⊙모빌리티 전환의 추진 방향 설정br /> br /> b>4-3. 모빌리티 전환 요소 도출/b>br /> ⊙사회적 가치별 현 교통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br /> ⊙교통시스템 측면의 모빌리티 전환 요소 도출br /> ⊙사회적 환경 측면의 모빌리티 전환 요소 도출br /> br /> b>4-4. 국가 모빌리티 대전환 정책 브리프 창간/b>br /> ⊙국가 모빌리티 대전환 정책 브리프 기획br /> - 국가모빌리티 대전환 정책 브리프 창간 및 편집 방향 설정br /> - 격월 단위로 국가모빌리티 대전환 정책 브리프 발간 기획 br /> ⊙국가 모빌리티 대전환 정책 브리프 발간 편집위원회 운영br /> - 자율주행차, MaaS, 수요대응 교통체계, 개인형 교통수단, 도시계획 등 국내 전문가 전문가로 구성된 편집위원회 운영br /> - 사회적 가치 제고를 위한 모빌리티 전환 관련 해외 동향 분석 및 정부정책 방향 제시br /> br /> b>4-5. 국가 모빌리티 대전환 포럼 창립을 위한 관련 기관 협의/b>br /> ⊙국가 모빌리티 대전환을 위한 포럼 구성 및 개최br /> - 국가모빌리티 대전환 포럼 창립 및 방향 설정br /> - 분기 단위로 국가모빌리티 대전환 포럼 개최br /> ⊙국가 모빌리티 대전환을 위한 국내외 전문가 세미나 및 토론회 개최br /> - 자율주행차, 스마트 모빌리티, 미래 교통수단, 공유서비스 등 국내 전문가 세미나 개최br /> - 국가모빌리티 대전환을 위한 토론회 개최br /> br /> b>(2차년도)br /> 4-6. MaaS 도입 전략 수립/b>br /> ⊙MaaS 도입을 위한 과제 도출br /> -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수요 조사br /> - 기반 인프라 구축 방안과 실증 및 시범사업 구상안 도출br /> ⊙MaaS 추진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도출br /> -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규제 개선 방안br /> - 반독점 관리 방안br /> ⊙MaaS 확산을 위한 생태계 조성 방안br /> - 얼라이언스 구축 방안 제시br /> - 요금 및 정산체계 구현 방안 제시br /> br /> b>4-7. 모빌리티 서비스 특성 분석/b>br /> ⊙미래차 기반 신규 모빌리티 서비스 분석br /> - 신규 모빌리티 유형과 서비스 특성 분석br /> - 신규 모빌리티 정책과 제도 개선을 위한 일반인/전문가 설문조사br /> - 신규 모빌리티 서비스 확산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제시br /> ⊙자율주행기술의 안전성/수용성 확보 방안br /> -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주행 데이터 분석br /> - 자율주행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선호도 및 만족도 분석br /> br /> b>4-8. 모빌리티 조사를 위한 지표 개발/b>br /> ⊙모빌리티 현황 분석br /> - 모빌리티 인프라 구축 현황 분석br /> - 모빌리티 서비스 정책 현황 분석br /> - 모빌리티 서비스 이용 행태 분석br /> - 모빌리티 서비스 이용자 요구사항/문제점 분석br /> ⊙모빌리티 서비스 지표 정의 및 산정 방법론 개발br /> - 대중교통체계 서비스 국내외 평가 방법론 검토br /> - 접근성 지표 검토br /> - 모빌리티 수단 및 서비스 조사 및 평가 지표 개발br /> ⊙모빌리티 서비스 지표와 도시공간구조 연관성 분석br /> - 공간 특성과 모빌리티 수준간 연관성 실증 분석br /> - 실증분석에 기반한 대상지의 모빌리티 수준 개선 방안 제시br /> br /> b>4-9. 모빌리티 대전환 정책 브리프 발간/b>br /> ⊙주제 1: 모빌리티 평가 지표 개발br /> ⊙주제 2: 미래차 기반 신규 모빌리티 서비스 분석br /> ⊙주제 3: 자율주행기술 안전성/수용성 확보 방안br /> ⊙주제 4: MaaS 도입 전략br /> br /> b>4-10. 모빌리티 혁신 포럼 운영/b>br /> ⊙모빌리티 혁신 포럼 개최br /> - 출범식(2023년 2월)과 정기총회(2023년 12월) 개최br /> - 운영위원회를 연 3회 개최 (연초, 연중, 연말) br /> - 자율주행, 친환경차, 모빌리티 서비스, 디지털 물류, UAM, 공간구조 등 6개 분과위원회를 분기별 1최 개최br />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국제세미나 개최br /> - 자율주행차, 친환경차, 모빌리티 서비스, 디지털 물류, UAM, 공간구조 등 6개 분과별 국제 세미나 개최br /> br /> b>(3차년도)br /> 4-11. 모빌리티 서비스 및 핵심 기술 상용화 방안/b>br /> ⊙모빌리티 전환 기술 관련 국내외 우수 연구기관과 협동연구 네트워크 구축br /> ⊙모빌리티 전환 핵심 기술 및 서비스 공동 개발br /> ⊙모빌리티 서비스 상용화 전략 도출br /> br /> b>4-12. 모빌리티 현황 분석 방법론 체계화/b>br /> ⊙개인형 이동수단 이용행태 분석 절차 표준화br /> ⊙지역별 이용행태 현황 비교 분석br /> br /> b>4-13. 모빌리티 전환 이슈페이퍼 발간/b>br /> ⊙모빌리티 서비스 현황분석br /> ⊙모빌리티 서비스 상용화br /> br /> b>4-14. 한독 모빌리티 전환 영문 단행본 출간/b>br /> ⊙주제 1: 모빌리티 전환의 철학과 전략br /> ⊙주제 2: 모빌리티 전환의 기술적 측면br /> ⊙주제 3: 민-관 협력 및 사회경제적 영향br /> ⊙주제 4: 법적 및 제도적 개선br /> br /> b>5. 연구 추진방법br /> 5-1. 모빌리티 데이타 기반 적정 모빌리티 서비스 분석/b>br /> ⊙모빌리티 서비스 지자체 및 서비스 제공 운영기관 협업체계 구축br /> * 지자체: 서울시, 세종시, 제주도 등br /> ** 민간기업: 자율주행서비스 제공 업체, 라이드헤일링 서비스 제공업체, DRT 서비스 제공업체, 공유 PM/자전거 서비스 제공업체br /> br /> b>5-2. 모빌리티 서비스 전문가 그룹/정책 자문단 활용/b>br /> ⊙자율주행차, DRT 시범운행지구 지정 지자체와 민간기업 협의체 운영br /> ⊙모빌리티 혁신 포럼 참여 기업과 협력 방안 논의br /> br /> b>5-3. 모빌리티 서비스 이용자 설문조사/b>br /> ⊙모빌리티 서비스 이용현황 및 만족도 조사br /> br /> b>5-4. 국내외 우수 연구기관 협동 연구체계 구축/b>br /> ⊙우수 연구기관의 핵심 기술 업무 협력 합의서 체결br /> ⊙모빌리티 전환 핵심 기술 및 서비스 공동 개발br /> br /> b>6. 연구기간/b>br /> - 2024.1.1~2024.12.31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br /> #
2024.02.14연구 연구 보고서 2024년 주요연구ㆍ사업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월간교통 2020-03
[시론] 코로나19로부터 교통·물류산업 구하기,[특집 1] 코로나19의 육상교통부문 영향분석 및 대응방향,[특집 2] 코로나19의 항공운송산업 영향 및 지원방안,[특집 3] Mobility Big Data를 이용한 감염병 접촉자 신속 선별 및 관리방안,[특집 4] 메르스 감염병 사례로 바라본 코로나19 교통 대응전략
2020.03.26연구 정기 간행물 월간교통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KOTI World Brief Vol.74연구 정기 간행물 브리프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KOTI World Brief Vol.74
Focus <em>Big</em> <em>Data</em> for Transportation Policies and Their Applications By LEE Seokjoo, YEON Jiyoun, CHEON
2015.06.29연구 정기 간행물 브리프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교통이야기] 미래교통과 교통안전, 사람을 이해하는 데서부터 출발하여야
자율주행 자동차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Big Data) 등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이 집약된 생산물로서 사람과 물자가 움직이는 방식을 전면적으로 뒤바꿀 교통
2021.02.03연구 종료사업 Social Acceptance Open Platform 정보마당 News 관련 News -
교통 빅데이터의 가치와 이슈
개인정보보호를 강력하게 규정하고 있는 현행 법테두리 내에서는 개인의 신상과 관련하여 민감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공유하기가 어렵다. 3) 공공데이터포털, https://www.data.go.kr
2019.08.12연구 종료사업 Social Acceptance Open Platform 정보마당 자율주행 기술 개발 동향
-
World Conference on Transport Research Society(WCTRS) 뉴스레터,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EASTS) 오재학 회장(한국교통연구원장) 인터뷰
EASTS made it clear that the society will play a big role and provide a platform to prepare for transforming
2021.10.29알림 알립니다 공지사항 -
2018년도‘자율적 학습조직’모집 공고
시너지가 나는 연구주제 ㅇ미래사회, 신기술, 신산업, 미래사회구조, 미래위험, 미래인재, 미래교육,데이터 분석 기반 미래예측 및 미래연구, 글로벌 소프트파워, 인구구조, 빅데이터(Big
2018.05.28알림 알립니다 공지사항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2014 한국교통문화포럼 정기세미나 : 「기상빅데이터&ICT를 이용한 교통사고 줄이기」 세미나
'기상관련 Big Date를 이용한 교통안전 증진 방안'으로 진행된 세션1에서는 각각 한국교통연구원의 강경표 연구위원, 기상청의 오미림 팀장, 부산대학교의 홍봉희 교수가 주제발표하였다
2014.07.18알림 알립니다 정책세미나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