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수시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page_top_research (1).jpg
모빌리티 규제혁신 및 활성화 방안 기초 연구
  • 발간일

    2023.03.24

  • 저자

    장원재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Page

#모빌리티 #규제혁신
이슈페이퍼-23-15.jpg

기후위기, 인공지능 및 ICT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 기존의 자동차산업과 교통산업이 모빌리티 산업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미래 주요 산업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모빌리티 부문의 기술발전은 국민의 이동성 증진과 함께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잠재적 가치가 높으나 국내 시장 여건, 기술 수준 등은 아직 세계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상태이다. 특히, 관련 규제의 미비나 잘못된 규제 등으로 인해 기술 및 산업 발전이 지연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규제 혁신은 매우 중요하다. 정부에서도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의 확산 및 관련 법·제도 정비, 규제샌드박스의 도입, 여객자동차법 개정을 통한 플랫폼 기반 모빌리티로의 전환 시도, 모빌리티혁신 및 활성화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추진, 규제 혁신 전략회의 및 규제혁신추진단 운영 등 다양한 형태의 법·제도적 정비를 추진하고 있으며, 자율차 등 7개 분야에 대한 규제혁파 로드맵 수립, 모빌리티혁신 로드맵, 스마트 모빌리티 사업 추진 등 관련 산업에 대한 미래상 도출, 실증 및 시범사업 추진, 규제 개혁 방안 마련 등 다각적 노력을 모색하고 있다.



<이하 원문 참조>

요 약 ⅲ

Ⅰ.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2

Ⅱ. 현황 및 문제점 3
1. 모빌리티 산업 현황 및 전망 3
2. 모빌리티 부문 규제 혁신 및 활성화 노력 6
3. 문제점 11

Ⅲ. 규제혁신 및 활성화 방향 13
1. 신산업분야 규제혁신 전략 검토 13
2. 모빌리티 부문 규제개혁 방향 15
3. 모빌리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사업 지원 체계 16
4. 기존산업과의 갈등 완화 방안 16

Ⅳ. 결론 및 정책방향 제언 18


참고문헌 21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모빌리티융합기술본부 선임연구위원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