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기본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page_top_research (1).jpg
운전자 운행패턴과 교통류 분석을 통한 에코드라이빙 활성화 방안 연구
  • 발간일

    2010.11.30

  • 저자

    강경표,오주택,박준석,성낙문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249 Page

#운행속도규제 #교통운영전략 #연료소모량 #CO2배출량 #ITS기술
기본연구이미지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이 2006년에 이어 2007년에도 영국에 이어 9번째로 많은 나라이며, OECD 회원국 중 6번째로 많은 나라입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20%가 수송부문에서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서울시의 온실가스 배출량 중 40%를 수송부분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교통의정서 1차 이행기간(2008~2010년)이 끝난 후에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 의무를 이행해야 할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 구성원으로서 CO2 배출 저감 노력에 동참해야 할 당위성도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우리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20년까지 30% 감축하는 것으로 정하고(’09년) 배출권거래제도 도입(’10년), 에너지 효율 개선 기술과 재생 가능 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기로 하는 등의 정책들을 제시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정부의 에코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운전자의 운전행태에 따른 연료소모 및 CO2 배출량과 실제 교통류 패턴에 따른 연료소모량의 주요 요인을 분석하여 온실가스 감축 및 에코드라이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운전행태와 교통운영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결과로서, 운전행태별 에코드라이빙 기법에 대한 미시적인 분석 결과는 개별 운전자에게 친환경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차량 내 센싱 및 모니터링 장치개발에 적극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통류 패턴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변경제속도규제는 교통운영의 효과뿐만 아니라 연료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실용적인 운행속도 규제 수단이므로 향후 지능형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 portation Systems) 기술 기반의 에코드라이빙을 위한 첨단교통운영시스템으로서 설치 및 운영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우리나라의 에코드라이빙 활성화를 위한 인식을 제고하고, 관련 에코정책 수립의 기초 및 참고자료로 널리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제3절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 7

제2장 운전 유형 및 교통운영 관련 이론적 고찰 / 10
제1절 차량의 연료 및 에너지 소모 특성 / 10
제2절 운전 유형 분류 기준 및 근거 / 19
제3절 운행속도규제 기반의 교통운영전략 사례 검토 / 30

제3장 운전 유형 기반의 연료소모 및 CO2 배출 관계 분석 / 37
제1절 차량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연료소모량 산출 / 37
제2절 연료소모량 산출을 위한 실험 / 45
제3절 운전 유형 기반의 연료소모 및 CO2 배출량 분석 결과 / 79

제4장 교통류 기반의 교통운영전략 및 효과 분석 / 84
제1절 교통류 패턴을 고려한 연료소모 주요 요인 분석 / 85
제2절 교통운영전략 효과 분석을 위한 연료소모량 관계식 산정 / 93
제3절 운행속도규제 기반의 교통운영전략 및 효과 분석 / 102

제5장 운전행태 및 교통류 기반의 에코드라이빙 활성화 방안 / 124
제1절 차량 및 ITS 기술 개발 방안 / 126
제2절 제도적 지원 방안 / 135
제3절 교육 및 홍보 방안 / 145

제6장 결론 및 제언 / 153
제1절 결론 / 153
제2절 정책 및 학술적 제언 / 155

참고문헌 / 159
부 록 / 165
Abstract / 201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자율협력주행기술연구팀 팀장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