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10.11.30
- 저자
박정욱,문정욱,안강기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167 Page

-
국가가 지향하고 있는 국정목표인 저탄소 녹색성장, 사회통합의 구현을 위하여 다양한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들 정책들 가운데 대중교통 이용활성화 정책은 국정목표 달성을 위한 매우 유용한 실천적 수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신체적‧정신적으로 부하, 즉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따라서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용자가 가능한 스트레스를 적게 받도록, 양적‧질적 서비스를 개선‧확충하는 것이 핵심과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이용자가 받는 스트레스의 요인과 정도를 가능한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개선정책에 현실성 있게 반영해야 합니다. 그러나 현행 스트레스 파악은 만족도 설문조사 등의 의식조사를 기반으로 하는 주관적‧정성적 조사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서비스 개선정책의 사전효과 예측 및 사후검증이 곤란하며 서비스 개선 요소와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한계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관련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그 결과, 대중교통 서비스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를 객관적으로 정책에 반영할 수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의 실효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배경하에 대중교통 이용 시 이용자가 받는 스트레스를 생체학적 관점에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추정 가능 방법을 제시하고, 제시한 방법을 기반으로 실증적 조사 분석을 실시하여 대중교통 이용의 스트레스 요인과 특성을 파악하고 제시된 평가방법의 유용 가능성을 검토하였습니다. 연구에서 제시된 새로운 스트레스 평가방법이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정책 수립 및 모니터링을 위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파악 가능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궁극적으로 대중교통 이용 및 육성을 통한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의 실효성 제고와 인본적 교통정책 정착을 위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다각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끝으로, 본 연구 수행에 있어 귀중한 시간을 내주시고 자문을 아끼지 않으신 일본 중앙대학교의 카시마 교수와 건국대학교의 이정환 교수를 비롯한 각 분야의 전문가 여러분께 지면을 빌려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내용 / 3
제3절 연구의 구성 및 수행체계 / 4
제4절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 5
제2장 기존 스트레스 연구 고찰 / 7
제1절 스트레스 연구 동향 / 7
제2절 심리적 연구 / 11
제3절 환경적 연구 / 18
제4절 생체적 연구 / 26
제3장 스트레스 평가의 의의와 필요성 / 34
제1절 대중교통정책과 스트레스 평가의 의의 / 34
제2절 스트레스 계량화의 필요성 / 37
제3절 스트레스 평가방법의 개선방향 / 40
제4장 생체지표를 활용한 스트레스 평가방법의 구축 / 42
제1절 스트레스의 메커니즘 / 42
제2절 스트레스 측정방법의 검토 / 45
제3절 스트레스 지표 및 분석방법의 구축 / 50
제5장 대중교통 이용 스트레스 특성 분석 / 67
제1절 대중교통 이용 스트레스 요인 / 67
제2절 대중교통 이용 실태 및 스트레스 조사 / 73
제3절 대중교통 이용 스트레스 특성 분석 / 80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 96
제1절 결론 / 96
제2절 정책 제언 / 97
참고문헌 / 101
부 록 / 105
Abstract / 133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