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너뛰기

감사

2024년 주요연구ㆍ사업

당해연도에 수행중인 주요 연구ㆍ사업의 기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8484662F81_1688976531202_20.jpg
주요 연구 지방대도시권 광역버스 도입 방안
  • 연구기간

    2024.01.01 ~ 2024.10.31

  • 연구 책임자

    윤상원

#광역버스 #지방 대도시권 #노선설계 #광역통행 #지표 #Metropolitan Buses #Regional Metropolitan Areas #Route Design #Inter-regional travel #Index
3.jpg
1. 연구책임자
- 윤상원 부연구위원

2. 관련 정책현안 및 연구의 필요성
2-1. 지방대도시권 광역 대중교통수단으로 버스의 중요성
⊙수도권 초집중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방대도시권에서도 인근 지자체 간 공동생활권 형성 등 광역통행이 증가하여 이를 위한 광역 대중교통 공급의 필요성 증가
⊙지방대도시권의 광역 대중교통 서비스는 비용-효율성 측면에서 철도 보다는 버스 중심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
⊙국가 정책적으로도 지방대도시권 내 광역버스 확충 발표
- 국가 법정계획, 국토부 업무계획 등에 지방대도시권 광역버스 확대 제시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기본계획(2021-2040), 제4차 대중교통 기본계획(2021-2025)
·2023 국토교통부 업무계획 : 지방대도시권 M버스 체계 마련(’23.9) 및 노선 확대
- 지방대도시권 광역버스 도입을 위한 제도 마련 및 사업 추진
·여객자동차법 시행규칙 개정(’19.12.) : M버스 시행지역 확대(수도권 → 전국 대도시권)
·지방대도시권 M버스 노선 신설 결정(’22.09.) : 2개 노선(세종 ~ 대전, 전남 담양 ~ 광주)

2-2. 열악한 지방대도시권 광역버스 운행실태
⊙둘 이상의 시·도간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 중 95%가 수도권에 집중
- 전국 295개 노선 중 수도권에 281개 노선 운행 중(’22.3월 기준, 시도 내 노선 제외)
- 지방대도시권 광역버스는 모두 시도지사 면허의 직행좌석형 시내버스로 운행 중
⊙지방대도시권의 시외버스 중심의 광역통행 서비스
- 지방의 기초지자체 간 광역통행은 대부분 도 면허의 시외버스 중심이라, 광역버스 노선발굴에 소극적임
- 또한, 지방의 대부분 지자체 간 광역 노선은 중심도시에서 광역 노선 신설을 반대함에 따라 사업의 제약요인이 됨

2-3. 국가 주도의 지방대도시권 광역버스 노선 확대를 위한 연구 필요
⊙지방대도시권의 광역통행 이용자들도 수도권 대비 형평성 측면에서 시외버스 대비 저렴한 광역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서비스 확대 필요
- 지방대도시권 내 광역버스 노선 도입이 필요한 지역을 판단할 수 있는 정량적 지표개발 필요
- 지방 대도시 권역별 통행실태, 광역교통 서비스 제공 실태 등을 고려한 사례분석을 통한 광역버스 노선발굴 필요
⊙지방대도시권 광역버스 도입을 위한 시행방안 연구 필요
- 지방대도시권 광역버스 준공영제 편입, 기존 시외버스 사업자와의 갈등 해소, 지속적인 광역버스 서비스 관리 등의 연구 필요

3. 연구 목적
⊙지방대도시권 내 광역버스 도입을 위한 적정 대상노선 발굴
⊙지방대도시권 내 광역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개선사항 제시

4. 주요 연구내용
4-1. 대도시권 광역 대중교통 주요 현황 분석
⊙대도시 권역별 광역버스 현황 분석
- 관련법에 근거한 광역버스 정의 및 유형
- 전국 광역버스 노선 및 이용현황
- 전국 광역버스 운영현황(민영/준공영/공영)
⊙대도시 권역별 광역철도 및 BRT 현황 및 계획 분석
- 관련법에 근거한 광역철도 및 BRT 정의 및 유형
- 전국 광역철도 현황 분석
- 전국 BRT 현황 분석

4-2. 광역버스 도입 적정성 지표 선정
⊙광역버스 도입 적정성 관련 사례 검토
- 광역버스 도입 적정성 지표 관련 국내외 사례검토
⊙광역버스 도입 적정성 판단 지표 발굴
- 광역버스 도입 적정성 지표 및 기준 선정
·타 수단과의 중복도, 최소 광역통행량, 광역교통개선대책 지구 입지 등

4-3. 지방대도시권 광역버스 노선 발굴
⊙지방 대도시 권역별 광역교통 사각지역 분석
- 권역별 주요 광역통행 패턴 분석
- 권역별 주요 광역교통 서비스 현황 및 계획 검토
⊙지방 대도시 권역별 광역버스 노선(안) 
- 광역버스 도입 적정성 지표에 따른 광역버스 신규노선 제안

4-4. 지방대도시권 광역버스 도입 활성화방안
⊙사회적 갈등해소 방안
- 기존 운송사업자와의 갈등해소 방안 등
⊙서비스 품질 관리방안
- 지방대도시권 BMS 시스템 연계 방안, 광역버스 서비스 품질 관리방안
⊙법·제도적 개선방안
- 운영체계 정비방안, 직행좌석형 도입방안 등

5. 연구 추진방법
5-1. 현황 분석
⊙선행연구 및 사례검토, BMS 분석을 통한 광역버스 현황 분석
⊙지자체 자료 협조를 통한 지방대도시권 광역버스 현황 분석 보완

5-2. 지방대도시권 광역버스 노선발굴
⊙KTDB를 활용한 광역통행 패턴 분석
⊙GIS를 활용한 광역교통 사각지역 분석

5-3. 전문가 자문
⊙광역버스 도입 적정성 지표 선정
⊙권역별 광역버스 노선 사례분석 결과
⊙지방대도시권 광역버스 도입 활성화방안

6. 기대효과
6-1. 지방대도시권 광역 대중교통 이용객 편의 향상
⊙철도 대비 사업 시행이 빠르고, 비용-효율적인 광역버스 서비스 제공으로 지방권 광역통행 이용객의 편의 향상
6-2. 지방대도시권 광역교통 서비스 제공으로 지역균형 발전에 기여
⊙지방의 광역통행 서비스 확대를 통한 수도권 광역교통 서비스와 간극 해소 기여

7. 연구기간
- 2024.1.1~2024.10.31


#광역버스
#지방 대도시권
#노선설계
#광역통행
#지표
#Metropolitan Buses
#Regional Metropolitan Areas
#Route Design
#Inter-regional travel
#Index
공공누리 이미지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G

KOREA TRANSPORT INSTITUTE

저자 발간 보고서

광역교통정책연구센터 부연구위원

동일 키워드 보고서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