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한국교통연구원

회원가입
검색
Korea transport institute
> 특화사업 > 동북아북한교통물류 > 동북아북한교통정보 > 교통망 프로젝트

교통망 프로젝트

블로그 페이스북 트위터 인쇄

TRACECA

첨부파일

TRACECA

 

○ 참고 링크 : http://www.traceca-org.org/en/traceca

 

○ TRACECA 프로그램은 1993년 5월 아르메니아를 비롯한 아제르바이잔, 그루지야,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그리고 우즈베키스탄 등 8개국의 교통통상부 장관이 참여한 브뤼셀 회의에서 처음 논의

- EU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는 TRACECA 개발 프로그램은 흑해 연안, 남 코카서스 그리고 중앙아시아 지역의 교통 통신, 무역, 경제 관계 강화를 목적으로 함

○ 1998년 9월 바쿠 회담에서 TRACECA 12개 참가국이 모여 “유럽 - 코카서스 - 아시아 운송로 개발을 위한 국제운송 다자 간 기본협약(이하 MLA TRACECA)”에 서명한 바 있으며, 해당 지역의 지정·지경학적 잠재력의 100% 실현이 협약의 주요 내용임

○ 한편, 현재까지 관련 회원국으로는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그루지야, 이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몰도바, 루마니아, 타지키스탄, 터키,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등 13개국이 포함

○ 최근 TRACECA 회원국들은 유럽 - 코카서스 - 아시아 국제운송로 개발과 함께 TENs(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s)와의 단계적 통합 및 복합운송로 구축을 위한 지속가능한 인프라 망 건설을 추진

- 향후 TRACECA의 핵심 지역인 코카서스의 그루지야,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등이 유럽, 아시아와 연계되면 유라시아 남북 교차점으로 발전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서유럽까지 복합운송로가 연계될 경우 과거의 실크로드 중 일부가 재현될 것으로 기대됨

자료: TRACECA, "GIS Database and Maps Downloads", http://www.traceca-org.org

<그림> TRACECA 노선도

 

 

※ 참고문헌

서종원 외(2014),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실현을 위한 실크로드 익스프레스 구축방향』 pp.91~92, 한국교통연구원

개인정보 이용동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하셔야 합니다.
확인
닫기

SNS인증

본인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 -
인증번호 발송 취소
닫기

SNS인증

고객님의 휴대폰으로 인증번호를 전송하였습니다.
수신하신 인증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
※ SMS 인증번호가 수신이 안되시나요?
휴대폰의 스팸설정여부 및 스팸편지함을 확인해 주세요.
착신관련 서비스를 사용중인 경우 SMS 인증문자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인증번호 발송 취소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