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인구소멸지역 모빌리티 혁신 지원사업
대도시에 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고 고령화 인구 증가로 인한 버스 이용 불편으로, 맞춤형 서비스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 ⊙ 국토교통부는 국민이 최소한의 삶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인 이동권
2025.02.03연구 연구 보고서 2025년 주요연구ㆍ사업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대중교통 부족지역 등 DRT 도입 지침(안) 연구
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4pt">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span>/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1.1pt">(2023.10)/span>/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4pt">으로 /span>/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4pt">농어촌지역/span>/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1.1pt">,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4pt">대중교통 부족지역에서/span>/span> 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4pt">광역교통개선대책 미완료지역/span>/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1.1pt">,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4pt">환승시설 연계 곤란 지역/span>/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1.1pt">,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4pt">심야시간대 불편지역/span>/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1.1pt">,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4pt">기존 노선 폐지/span>/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1.1pt">/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4pt">단축 지역/span>/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1.1pt">,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4pt">규제특례 실증을 거친 지역으/span>/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4pt">로 수요응답형 운송사업을 도입 허용 대상이 확대되었다/span>/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1.1pt">./span>/span>br /> 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3pt">이에 따라 기존 버스 비수익/span>/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3pt">․/span>/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3pt">비효율 심화 노선 대체/span>/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1.0pt">, /span>/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3pt">도시형 교통모델의 운영 합리화 방안/span>/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1.0pt">, /span>/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3pt">시/span>/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3pt">․/span>/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3pt">공간적 교통서비스 격차 해소를 위한 대안으로 수요응답형 교통수단/span>/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1.0pt">(/span>/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1.2pt">Demand Response Transport, /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5pt">이하 /span>/span>span lang="EN-US" style="letter-spacing:-1.2pt">DRT)/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3pt">을 도입을 검토하는 지자체가 늘어나고 있다/span>/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1.0pt">. /span>/span>/span>br /> span style="text-autospace:none">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3pt">지역 유형과 교통 현안 대응하기 위해 수요응답형 교통수단이 서비스 대안으로 적합한지에 대한 도입 타당성 검토/span>/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1.0pt">, /span>/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3pt">합리적인 서비스 운영모델 탐색/span>/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1.0pt">, /span>/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3pt">수요응답형 운송사업 추진 등 지자체별 수요응답형 교통 도입 시 행정적/span>/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1.0pt">/span>/span>span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0.3pt">운영적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가이드가 필요한 상황이다/span>/span>span lang="EN-US" style="font-family:KoPub바탕체 Light">span style="letter-spacing:-1.0pt">./span>/span>/span> div class="hwp_editor_board_content" data-hjsonver="1.0" data-jsonlen="13206" id="hwpEditorBoardContent">이하 원문 참조/div>
2024.10.31연구 연구 보고서 수시연구보고서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2024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국가철도정책 지원사업
어디에 살든 균등한 기회를 누리는 공정, 자율, 희망의 지방시대를 구현하고 지역 간 발전격차 수렴과 국민통합 도모를 위한 국가균형발전 정책을 지원하고자 지역의 접근성 및 이동권 확보를
2024.02.15연구 연구 보고서 2024년 주요연구ㆍ사업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한국교통연구원 37주년 기념 정책세미나 - 탄소중립 시대, 국가교통체계 역할과 과제
지방 중소도시 이동권 확보 방안(임서현 대중교통산업연구팀장) 14:50-15:00 휴식 15:00-16:00 종합토론 - 좌 장 : 강재홍 전 한국교통연구원
2023.08.08알림 알립니다 정책세미나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2023년 오재학 한국교통연구원장 신년사
교통SOC투자평가체계는 일부 개선되어 현재에 이르렀지만,2000년대 초에 정립된 정책 기조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어서 개선이 필요합니다.지역 균형에 대한 고려와 재원 분담구조에서 실효성 확보가
2023.01.01알림 알립니다 공지사항 -
[오재학 원장 신년사]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교통정책, 한국교통연구원이 앞장서겠습니다
이제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교통정책과 기술 혁신연구에 앞장서겠습니다.
2018.02.19알림 알립니다 공지사항
-
[2021년 7월호] 한국교통연구원 뉴스레터
개회사와 대한교통학회 이선하 회장의 축사에 이어, 코로나로 인한 국민통행행태 변화와 전망(한국교통연구원 장동익 부연구위원), 여객운송산업 충격과 대응방안(한국교통연구원 임서현 운송산업이동권연구팀장
알림 디지털콘텐츠 뉴스레터 2021.07.28 -
[2021년 6월호] 한국교통연구원 뉴스레터
오재학 원장은 국민의 안전한 이동권 향상과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연구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알림 디지털콘텐츠 뉴스레터 2021.06.28 -
[2020년 9월호] 한국교통연구원 뉴스레터
교통물류체계 구축 전략 북한 지속 가능한 교통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추진방안 + 자세히보기 소멸위기 지방도시의 지역 유형별 이동권 확보방안
알림 디지털콘텐츠 뉴스레터 2020.09.25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