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인구소멸지역 모빌리티 혁신 지원사업
인구구조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수도권 인구집중 현상 지속으로 지방인구 소멸 위기의식이 확대되고 있음 ⊙ 인구과소 현상이 뚜렷한 지역일수록 산업기반 약화, 일자리 감소로 청장년층 인구 이동
2025.02.03연구 연구 보고서 2025년 주요연구ㆍ사업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미래 환경변화를 고려한 유료도로 요금체계 합리화 방안
유료도로 관련 환경변화에 대응한 요금제도 개선 필요 ⊙유료도로관리청인 한국도로공사는 총 22종의 통행요금 감면 및 할인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각 제도는 복지실현, 정책목표 달성 등
2024.02.08연구 연구 보고서 2024년 주요연구ㆍ사업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도심항공모빌리티 서비스 모델 개발 및 파급효과 분석
(과학기술 선도국가) 4차산업혁명을 통한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 선도를 위해 UAM 등 미래 지능형 모빌리티 산업으로의 빠른 전환 및 교통약자, 교통소외지역 이용자를 위한 교통복지기술개발
2023.01.02연구 연구 보고서 2023년 주요연구ㆍ사업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앞으로 30년, 혁신성장을 선도할 도시 인프라 구축방향
시민들이 갈구하는 안전과 복지에 초점을 맞추고 피드백해야 한다. 특히, 스마트 인프라 구축대상 우선순위 도시는 노후도시가 중심이어야 하는 것도 월등한 체감도 때문이다.
2019.11.18연구 종료사업 Social Acceptance Open Platform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성 트렌드 참여자 의견 -
자율주행과 공유교통시대의 대중교통서비스 제공방안
그리고 농어촌, 산간지역 등 대중교통서비스 취약지역에서는 공유교통을 활용, 지역주민의 이동권 제고를 통해 주민 편의와 복지를 지원하여야 한다.
2019.11.18연구 종료사업 Social Acceptance Open Platform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성 트렌드 참여자 의견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