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보고서
사회·정책적 환경에 부합하는 주제를 선정하고, 그 연구결과물을 수록한 교통 현안 관련 자체 보고서입니다.

연구
KOTI 교통연구원- 발간일
2022.10.31
- 저자
탁세현,이동훈,강경표,이지원
- 언어 / 페이지수
국문 / 315 Page

-
신성장 동력인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선도를 위한 국가 간 경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자율주행기술과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를 중심으로 자율협력주행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의 도입 및 운영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도심·관광지·공원 등으로 자율주행 서비스 대폭 확대된다」,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512889(검색일 : 2022.08.12.)
이는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미래를 향한 멈추지 않는 혁신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발표」,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526389(검색일 : 2022.09.22.)
이러한 자율협력주행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를 초기의 ‘시범 운영’ 단계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상용화’ 단계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자율주행차량 관련 요소기술의 고도화뿐만 아니라, 운행 중인 자율주행차량에게 원활하고 안전한 주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가 필수적이다.
모빌리티 혁신 대응을 위한 정부 정책 기조에 따라 국내 도로 인프라의 디지털화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나, 막대한 투자재원이 소요되는 만큼 정책 시행에 있어서 무엇보다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한 선택과 집중이 요구된다. 즉, 전국의 모든 도로를 대상으로 고도화된 디지털 관리체계를 일괄적으로 도입하는 것은 투입되는 자원의 전반적인 효율성뿐만 아니라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의 궁극적 목적을 달성을 위한 비용 효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디지털 도로 인프라 구축 과정은 정책 의사결정자나 정책 참여기관들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여 시행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렇게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 도시 내에서의 이동 수요, 자율주행차량의 주행 기술 수준, 디지털 도로 인프라의 성능과 같은 다양한 변수가 디지털 도로 인프라 구축에 실제 고려되고 있지 않아,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의 효율성 및 효과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이하 원문 확인> -
요약 i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범위 7
제3절 연구의 수행 방법 8
제4절 선행연구 고찰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10
제2장
자율협력주행과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 필요성 13
제1절 자율주행 기술 개념 및 추진현황 16
제2절 자율협력주행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개념 및 추진사례 33
제3절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 개념 정립 49
제4절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 구간 선정 및 유형 결정의 중요성 73
제3장
모빌리티 서비스 중심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 구간 선정 방법 개발 77
제1절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 구간 선정의 의미와 방법 79
제2절 모빌리티 서비스 중심 디지털화 구간 선정을 위한 모델 개발 81
제3절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 구간 선정 방법의 적용 및 적절성 평가 122
제4장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 유형 결정 방법 개발 137
제1절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 유형 결정의 의미와 방법 139
제2절 구간 특성 기반 디지털화 최적 유형 결정을 위한 모델 개발 141
제3절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 최적 유형 결정 방법의 효과성 평가 154
제5장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 방안 도출 : 사례 적용 및 시사점 163
제1절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 프로세스 165
제2절 사례 연구 적용 지역 조사 및 분석 167
제3절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 방안 적용 및 타당성 분석 185
제4절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도로 인프라 디지털화 방안 188
제6장
결론 191
제1절 결론 193
제2절 학술적 및 정책적 활용방안 197
제3절 향후 연구과제 203
참고문헌 205
부 록 223
부록 1. 논문 실적 1 : Study on the Extraction Method of Sub-Network for Optimal Operation of Connected and Automated Vehicle-Based Mobility Service and Its Implication 225
부록 2. 논문 실적 2 :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Road Geometry and Automated Driving Safety for Automated Vehicle-Based Mobility Service 253
부록 3. 심사 중 논문 : A Study on Identifying Representative Travel Demands for Mobility Service Design 266
부록 4. 디지털 도로 인프라 성능 및 단가 설문지 267
Abstract 269

한국교통연구원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으로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