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 동북아・북한교통 동향조사사업
자유민주주의 가치와 공동이익에 기반한 동아시아 외교 전개) 공동의 가치와 이익을 기반으로 미중일러 4개국과 협력 강화를 추진함으로써 한반도 평화번영 환경을 조성하는 동시에 공급망 등
2024.02.14연구 연구 보고서 2024년 주요연구ㆍ사업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 SOC 개발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함께 번영하는 지역별 협력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 - 아세안과 호혜적실용적 협력을 강화하고 다자간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한-아세안 상생연대 구축과 중앙아시아
2023.01.02연구 연구 보고서 2023년 주요연구ㆍ사업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2019 인력양성 연계형 지식공유사업
지식의 공유는 국가 간 개발경험을 상호 학습함으로서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를 비롯 국제사회의 개발 이니셔티브를 이행하는 수단으로 삶의 질 향상과 공동번영을
2020.06.30연구 연구 보고서 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월간교통 2023-07
[시론] 모빌리티 전환을 통한 국민의 이동복지 실현,[특집] 생활의 혁신, 모빌리티 전환,[특집1] 자율주행자동차의 경제·사회적 영향,[특집2] 모빌리티 서비스는 왜 중요한가?,[특집3] 모빌리티 혁신과 지속가능한 도시,[특집4] 새로운 모빌리티 시대의 인력양성 방안,[KOTI가 만난 사람]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 "대중교통정책 패러다임 전환 시급, 수요자 중심 대도시권 교통정책 펴야",[사진으로 본 교통] 첨단 기술의 향연, 물류기술의 미래를 보다 Transport Logistic 2023,[통계로 본 교통·물류] 시·군·구 교통문화지수 및 순위,[KOTI NEWS] 한국교통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우수연구기관 국무총리 단체상 수상 외,[숨은 교통 찾기] 교통에도 도전 과제가 많은 여름,[안테나1]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 그리고 교통 연결성 / 한국교통연구원-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공동세미나 개최,[안테나2] 글로벌 모빌리티 콘퍼런스 / Conference Track : 모빌리티 혁신 포럼 분과별 콘퍼런스,[글로벌 교통 동향] 워싱턴 D.C. 교외지역의 신규 경전철 노선(Purple Line) 건설의 추진현황과 시사점,[글로벌 KOTI] 세계은행의 인프라 부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민관협력 Toolkits,[교통 관련 보도자료 중계] 보도자료를 통해 본 주요 교통뉴스,[교통 SPOT]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시장 전망은?,[시론] 모빌리티 전환을 통한 국민의 이동복지 실현,[특집] 생활의 혁신, 모빌리티 전환,[특집1] 자율주행자동차의 경제·사회적 영향,[특집2] 모빌리티 서비스는 왜 중요한가?,[특집3] 모빌리티 혁신과 지속가능한 도시,[특집4] 새로운 모빌리티 시대의 인력양성 방안,[KOTI가 만난 사람]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 "대중교통정책 패러다임 전환 시급, 수요자 중심 대도시권 교통정책 펴야",[사진으로 본 교통] 첨단 기술의 향연, 물류기술의 미래를 보다 Transport Logistic 2023,[통계로 본 교통·물류] 시·군·구 교통문화지수 및 순위,[KOTI NEWS] 한국교통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우수연구기관 국무총리 단체상 수상 외,[숨은 교통 찾기] 교통에도 도전 과제가 많은 여름,[안테나1]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 그리고 교통 연결성 / 한국교통연구원-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공동세미나 개최,[안테나2] 글로벌 모빌리티 콘퍼런스 / Conference Track : 모빌리티 혁신 포럼 분과별 콘퍼런스,[글로벌 교통 동향] 워싱턴 D.C. 교외지역의 신규 경전철 노선(Purple Line) 건설의 추진현황과 시사점,[글로벌 KOTI] 세계은행의 인프라 부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민관협력 Toolkits,[교통 관련 보도자료 중계] 보도자료를 통해 본 주요 교통뉴스,[교통 SPOT]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시장 전망은?,[시론] 모빌리티 전환을 통한 국민의 이동복지 실현,[특집] 생활의 혁신, 모빌리티 전환,[특집1] 자율주행자동차의 경제·사회적 영향,[특집2] 모빌리티 서비스는 왜 중요한가?,[특집3] 모빌리티 혁신과 지속가능한 도시,[특집4] 새로운 모빌리티 시대의 인력양성 방안,[KOTI가 만난 사람]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 "대중교통정책 패러다임 전환 시급, 수요자 중심 대도시권 교통정책 펴야",[사진으로 본 교통] 첨단 기술의 향연, 물류기술의 미래를 보다 Transport Logistic 2023,[통계로 본 교통·물류] 시·군·구 교통문화지수 및 순위,[KOTI NEWS] 한국교통연구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우수연구기관 국무총리 단체상 수상 외,[숨은 교통 찾기] 교통에도 도전 과제가 많은 여름,[안테나1]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 그리고 교통 연결성 / 한국교통연구원-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공동세미나 개최,[안테나2] 글로벌 모빌리티 콘퍼런스 / Conference Track : 모빌리티 혁신 포럼 분과별 콘퍼런스,[글로벌 교통 동향] 워싱턴 D.C. 교외지역의 신규 경전철 노선(Purple Line) 건설의 추진현황과 시사점,[글로벌 KOTI] 세계은행의 인프라 부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민관협력 Toolkits,[교통 관련 보도자료 중계] 보도자료를 통해 본 주요 교통뉴스,[교통 SPOT]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시장 전망은?
2023.07.19연구 정기 간행물 월간교통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월간교통 2018-09
[특집] 경의선 철도연결의 지정지경학적 효과 [특집 1] 경의선 연결과 북방협력 [다운로드] [특집 2] 경의선 연결을 계기로 한 남북중 경협사업: 한반도 신경제지도와 일대일로의 연계협력 [다운로드] [특집 3] 경의선 현대화의 경제적 효과와 향후 과제 [다운로드] [유럽연합(EU)의 교통정책] [다운로드]
2018.09.30연구 정기 간행물 월간교통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월간교통 2018-06
[특집] 427 판문점 선언 성공적 이행을 위한 교통물류분야 남북협력과제 [특집 1] 상생과 <em>번영</em>의 한반도를 위한 북한 지역개발과제 [특집 2] 남북 철도분야 협력과제 [특집
2018.06.30연구 정기 간행물 월간교통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각지 청년들의 탄원소식 -청진철도국 청년동맹위원회에서-
청진철도국의 수십명 청년들이 인민경제의 선행관이고 나라의 동맥인 철도운수부문의 어렵고 힘든 초소들에 탄원함 연설자와 토론자들은 이땅우에 전설적인 천리마시대, 로동당시대의 대번영기를
2023.04.05연구 특화사업 동북아북한교통물류 기사 브리프 기사브리프 북한 -
믿음, 그자체가 힘있는 교양
개천철길대에 잘못 살아온 과거와 단호히 결별하고 어머니당과 조국의 부강번영을 위해 제일 어렵고 힘든 초소에서 인생의 새 출발을 할것을 결심하고 탄원해온 한 청년에 대해 일부 일군들은
2022.12.16연구 특화사업 동북아북한교통물류 기사 브리프 기사브리프 북한 -
화성지구의 천지개벽으로 수도건설의 대번영기를 더욱 빛내이자 화성지구 1만세대 살림집건설착공식에서 하신 경애하는 김정은동지의 연설 -주체111(2022)년 2월 12일-
김정은 위원장의 평양시 화성지구 1만세대 살림집건설착공식 연설문 당중앙위원회 제8기 제4차전원회의 결정을 높이 받들고 착공되는 화성지구 1만세대 살림집건설은 당의 숙원사업인 평양시 살림집전망목표수행의 두번째 공사인 동시에 이 지구에 새로운 현대적도시구획을 일떠세우기 위한 첫단계의 건설로 앞으로 3년안팎에 수만세대의 살림집과 공공건물, 봉사시설이 들어낮은 웅장한 거리들이 일떠서고 새 주민행정구역이 생겨나게 됨 건설지휘부에서는 현존건설력량과 건재생산 및 수송능력, 계절조건을 정확히 타산한 기초우에서 설계와 시공의 전 과정을 치밀하게 계획하고 박력있게 추진하여야 함 * 본 기사브리프는 자료 제공 차원에서 가급적 북한 원전의 표현을 유지하고 있으며 본 기관 및 연구진의 의견과는 무관합니다.
2022.12.16연구 특화사업 동북아북한교통물류 기사 브리프 기사브리프 북한
-
세종∼공주 광역BRT 공주시내 노선 최종 결정… 번영1로 통과한다알림 최신교통뉴스
-
동아시아철도공동체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 열어 갈 것”알림 최신교통뉴스
-
2020 글로벌 코리아 박람회 “세계의 평화, 번영,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세계선도국가 대한민국”
협력하고 있습니다. 2019년 6월, 정부의 국제협력사업을 뒷받침하는 자율율협의체로서 글로벌 코리아 포럼(GKF)의 플랫폼이 출범하였습니다. 2020년에는 세계평화, 번영
2020.12.07알림 알립니다 공지사항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