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년도 기본과제 연구보고서 핸드북연구 연구 보고서 기획도서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2020~2024 기본과제 연구보고서 요약집연구 연구 보고서 기획도서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2025 교통부문 3대 혁신전략 지원사업
위한 접근성 분석과 지역균형 관점에서의 맞춤형 교통서비스 공급 방안 필요 ⊙ 도로, 철도시설로 인한 공간단절로 지역 경제활성화 한계 발생 - 도심을 관통하는 지상철도의 지하화를
2025.02.03연구 연구 보고서 2025년 주요연구ㆍ사업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월간교통 2025-01
[신년사] 교통기술 진일보를 위한 한국교통연구원의 자세,[특집1] 모빌리티전환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 일상에서 국민이 실감하는 모빌리티 혁신 목표,[특집2] 광역·도시교통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 교통정책 종합적으로 재설계, 대도시권 교통체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특집3] 도로교통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 지하도로·초고속도로, 교차로 교통사고 방지 연구 주력,[특집4] 철도교통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 철도의 미래 만들어가는 원년, 국가철도 방향 수립과 현장 중심 철도정책 발굴 매진,[특집5] 항공우주교통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 격변기 국제 경쟁력 확보와 안전시스템 확보 주력,[특집6] 물류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 「제6차 국가물류기본계획」 수립 등 물류산업 중장기 발전방안 마련,[특집7] 교통빅데이터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 데이터허브 기능 강화, 모빌리티 빅데이터 중심의 국가교통DB 구축 목표,[특집8] 민간투자SOC관리지원단 연구방향과 과제 : 민자교통SOC 활성화·운영효율화·플랫폼 안정화 도모,[특집9] 교통기술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 국가교통·모빌리티 시스템 자동화와 국토교통 데이터 선순환 체계 기반 조성,[KOTI가 만난 사람] 신동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대한민국 미래를 선도하는 국가정책연구의 허브”,[사진으로 본 교통] 3國 3色 유럽 주요 도시 PPP 도로,[통계로 본 교통·물류] 물가지수, 자동차 관련 물가지수, 주유소 제품별 평균 판매가격, 지역별 주유소 평균 가격,[KOTI NEWS] ‘제4회 연구회 및 연구기관 적극연구·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 수상 외,[숨은 교통 찾기] 교통재난 방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나?,[안테나] 2024 모빌리티 혁신포럼 총회 개최 : ‘일상에서의 모빌리티 혁신’ 추구,[글로벌 교통 동향] 2025년, 스위스 고속도로에서 자율주행시대 개막,[교통 관련 보도자료 중계] 보도자료를 통해 본 주요 교통뉴스,[교통 SPOT] 교통안전표지의 오류와 개선
2025.01.20연구 정기 간행물 월간교통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월간교통 2024-12
[시론]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인프라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다,[특집1] 철도지하화를 위한 기술적 요건과 쟁점,[특집2] 철도 인프라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주요 과제,[특집3] 철도지하화와 도시공간,[KOTI가 만난 사람] 코레일 문화홍보실 SNS팀 강하영 대리 - 미스 기관사의 샤우팅 “KTX-청룡, 세계로 가? Let’s go”,[사진으로 본 교통] 중앙아시아 교통 허브 타슈켄트, 지하철·시내버스·마르슈트카가 대중교통의 중심,[KOTI NEWS] ‘국토교통 데이터 산업 활성화 포럼’ 개최 외,[숨은 교통 찾기] 자전거와 함께 떠난 제주여행,[여기, Travel] 대구 근대路의 여행 - 과거를 마주하고 미래를 생각한다,[안테나1] AVAS 테스트베드 개소식 및 시연회 개최 - 대표 수출품 완성차 해상운송체계 혁신 주도 기회,[안테나2] 제10회 항공환경 세미나 - 국제항공 부문 2050 탄소중립 달성 전략 논의,[글로벌 교통 동향] 스위스 교통 동향 : 유럽 철도의 선두 주자,[교통 관련 보도자료 중계] 보도자료를 통해 본 주요 교통뉴스,[교통 SPOT] 운전 중 휴대폰 사용, 얼마나 하시나요?
2024.12.17연구 정기 간행물 월간교통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월간교통 2024-10
[시론] 교통서비스 격차 해소와 민간 부문의 역할,[특집1] 모빌리티 혁신으로 여는 새로운 지방시대,[특집2] 고속도로 물류수송시스템의 현재와 미래,[특집3] 자율주행 Lv.4/4+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로교통 디지털 트윈 기술개발,[특집4] 교통약자 이동지원 모빌리티 서비스 기술개발 및 실증계획,[특집5] 민자도로사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강화 방안,[특집6] 민자철도 운영평가 제도 진단을 통한 발전방안,[특집7] 교통 민간투자사업의 수요분석 이슈,[KOTI가 만난 사람] 박정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인프라 부족이 지역소멸로 이어지는 모순 없애려면 교통혁명 이루어야”,[사진으로 본 교통] 두바이 교통, 무인전철부터 수상택시까지 교통 네트워크 ‘촘촘’,[통계로 본 교통·물류] 국내 택배시장 물동량 추이, 택배이용 횟수 추이, 택배 종사자 근로실태 등,[KOTI NEWS] 한국교통연구원-한국해양진흥공사, ‘국가 물류 인증제도 합동 설명회’ 개최 외,[숨은 교통 찾기] 지방소멸의 방지를 위한 거대도시권 구축 방향,[기고] 한국형 도로안전도 평가 기술의 개발,[안테나1] 우즈베키스탄 교통 공무원 및 전문가 대상 역량강화 연수,[안테나2] 2024년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 참관기,[글로벌 교통 동향] 미국의 대중교통을 바꾸고 있는 10가지 트렌드,[교통 관련 보도자료 중계] 보도자료를 통해 본 주요 교통뉴스,[교통 SPOT] 화물차 운전시간 총량제한이 필요한 이유
2024.10.22연구 정기 간행물 월간교통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중국 최대 대외원조 공정인 파키스탄 과다르신국제공항 프로젝트 정식 착공(中国最大援外工程巴基斯坦瓜达尔新国际机场项目正式开工)
- 현지시간 2019년 11월 2일, 중국철도 북경공정국 공항공정계열사가 참여한 지금까지의 중국 대외원조 공정중 최대규모인 파키스탄 과달신국제공항 프로젝트 착공식이 파키스탄에서 거행되었음
2019.12.20연구 특화사업 동북아북한교통물류 기사 브리프 기사브리프 중국 -
진공자기부상열차 베이징에서 워싱턴까지 2시간 여정
하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 민항여객기를 대신할 신형교통이 곧 세상에 나온다.
2010.08.11연구 특화사업 동북아북한교통물류 기사 브리프 기사브리프 중국
-
앞으로 30년, 혁신성장을 선도할 도시 인프라 구축방향
넷째, 미래도시 인프라는 역동하는 환경에 적합하게 진화할 수 있는 인프라여야 한다.
2019.11.18연구 종료사업 Social Acceptance Open Platform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성 트렌드 참여자 의견 -
자율주행 택시는 기대해도 되는가?
지난 10월 15일 정부는 2027년까지 완전자율주행을 상용화하고 2030년 국내 에서 판매되는 신차 가운데 친환경차 비중을 33%로 끌어올린다는 미래자동 차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하였다
2019.11.18연구 종료사업 Social Acceptance Open Platform 자율주행자동차 수용성 트렌드 참여자 의견
-
철도 지하화·역사 복합개발… 서울역 일대, 미래형 교통허브로알림 최신교통뉴스
-
제4차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안) 공청회
■ 14:00〜14:10 개회식 ■ 14:10〜14:40 주제발표: 「제4차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안)」 권 혁 구 연구위원 (한국교통연구원
2023.11.16알림 알립니다 정책세미나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한국교통연구원 37주년 기념 정책세미나 - 탄소중립 시대, 국가교통체계 역할과 과제
주제발표 / 국가교통체계 구조변화와 정책과제- 이 호 철도교통연구본부장 2.
2023.08.08알림 알립니다 정책세미나파일 미리보기파일 다운로드
-
[KOTI Seminar] 2023년교통·물류·항공산업 전망 및 정책방향 세미나
v=8T6uW8G8Blct=1526s" rel="nofollow" tabindex="0" target="">0:25:26/a> 여객운송산업 전망ㅣ박상우 탄소중립미래전망연구단 연구위원br
알림 디지털콘텐츠 유튜브 2022.12.20 -
[KOTI PR] 2021 한국교통연구원 홍보영상(축약본) 한국교통연구원 구독자 2.61천명 분석 동영상 수정
빠르고, 안전하게, 국민의 삶으로 향하는 🔹길🔹br /> br /> 한국교통연구원이 함께 만들어 갑니다😊br /> br /> 1986년 설립된 이래 도시교통, 도로, 철도
알림 디지털콘텐츠 유튜브 2022.04.28 -
우리나라 자동차는 왜 우측으로 다닐까?
좌측 통행 국가는 대부분 과거 영국의 영향 아래 있었던 국가들인데, 일본이나 태국 같은 국가들은 도로와 철도를 도입할 때 영국의 도움을 받은 영향을 좌측 통행이 정착되었다고 합니다.
알림 디지털콘텐츠 카드뉴스 2022.03.30
현재 페이지 정보에 대해 만족도 의견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주세요.